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자산가에 꽂힌 생보사…'웰스 매니지먼트' 도약

신한라이프, 업계 최초 '상속증여연구소' 오픈
푸르덴셜생명 '스타WM'으로 200억 규모 유치
"법인세 절감 효과, 자산가 고객 확대 맞물려"

성대규 신한라이프 사장(왼쪽 세 번째) 등 참석자들이 '상속증여연구소' 출범을 기념하며 테이프를 커팅하고 있다. /신한라이프

생명보험사들이 고액 자산가를 위한 서비스를 속속 선보이고 있다. 법인세 절감 효과가 있어 자산가들의 니즈가 높고, 생보사도 기존 자산가 고객을 유지·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맞물렸다는 분석이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최근 신한라이프는 업계 최초로 '상속증여연구소'를 오픈했다.

 

앞서 신한라이프는 WM(Wealth Management) 사업을 미래 성장의 핵심축으로 보고 WM본부를 신설한 바 있다. 여기에 최근 ▲WM챕터 ▲WM센터 ▲상속증여연구소 등 3개 조직으로 확대 개편한 것이다.

 

기존 부유층은 물론, 최근 부동산과 주식 등의 자산 가치 상승으로 상속과 증여에 대해 관심을 갖는 고객까지 확대해 전문적인 상속증여 콘텐츠를 연구·개발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신한라이프는 WM 챕터가 운영하고 있는 전문 보험 설계사(FC)를 하반기 내 300명 규모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메트라이프생명의 경우 글로벌 노하우를 담은 자산관리 연구소 '솔루션 랩(Solution Lab)'을 새롭게 출범했다.

 

메트라프생명은 VIP 전담 자산관리 조직인 노블리치센터 산하에 각각 개인 자산가와 법인에 특화된 솔루션 연구소인 '헤리티지 솔루션 랩(Heritage Solution Lab)'과 '비즈니스 솔루션 랩(Business Solution Lab)'을 각각 신설했다.

 

메트라이프생명은 지난 2003년 외국계 보험사 최초로 VIP 전담 자산관리 센터를 오픈하며 자산가, 전문직 종사자,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등을 위한 맞춤형 재무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헤리티지 솔루션 랩'은 전문직종사자 및 자산가 등에 특화된 솔루션(상속·증여, 유학, 이주, 해외투자 등) 개발에 주력하고 '비즈니스 솔루션 랩'은 법인 및 기업가를 위한 솔루션(세무, 법무, 노무, 부동산, 특허, 퇴직플랜 등)에 역량을 집중한다.

 

기존 VIP 고객 대상 서비스를 강화하는 생보사도 눈길을 모은다.

 

푸르덴셜생명은 자사의 VIP 고객 전담 종합금융전문가인 '스타WM(Wealth Manager)'을 확대 운영해 나간다고 밝혔다. '스타WM'은 KB금융그룹의 전문가와 협력해 고객에게 다양한 금융 컨설팅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푸르덴셜생명은 지난 5월 28명의 라이프플래너를 '스타WM' 1기로 선발했다. 이후 푸르덴셜생명은 '스타WM'을 통해 약 200억원 규모의 고객자산을 KB금융그룹 계열사로 신규 유치했다. 이들이 약 6개월 만에 달성한 신규계약 건수도 700건 이상에 달한다.

 

이에 따라 푸르덴셜생명은 향후 '스타WM' 2기를 약 150명(1기 포함)으로 확대 운영한다.

 

이처럼 생보사들이 연달아 자산가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출범 및 강화하는 데는 법인세 절감 효과가 있어 자산가들의 니즈가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생보사도 기존 자산가 고객을 유지 및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맞물리며 시너지 효과를 낸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최근 자산가들이 세금 절약을 위해 보험 활용을 많이 하는 추세"라며 "법인 같은 경우에는 보험 상품을 준비하면 퇴직금 마련과 법인세 절감이란 두 가지 효과를 같이 보기 때문에 법인대표라면 정기보험 하나쯤은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의 경우에도 보험 상품은 은행처럼 이자소득세가 없고 10년만 지나면 비과세이기 때문에 나중에 연금으로 전환되는 상품이나 사망보험금을 통해 상속세를 준비한다"며 "그렇기에 고액 자산가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시에 보험 상품을 컨설팅하는 비율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대리점(GA)의 경우 자산가들에게 리베이트를 주는 조건을 내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원수사업장에서도 할 수 있는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