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여 업체가 참여한 지상 최대의 IT 가전 전시회 CES 2022에 '나무 한 그루'가 주목받고 있다. SK 그린 포레스트 파빌리온'(Green Forest Pavilion)의 '생명의 나무'가 그 주인공이다.
6일(현지시각) CES 2022에 참석한 SK그룹은 기술 대신 '친환경'을 강조했다. SK텔레콤과 SK㈜, SK이노베이션, SK E&S, SK하이닉스, SK에코플랜트 등 SK그룹 6개사가 920㎡ 규모의 공동 전시 부스를 꾸렸다.
이번 전시장을 통해 공개된 '생명의 나무'는 차가운 디지털 전시품으로 가득한 미국 라스베이거스 LVCC(Las Vegas Convention center)에 온기를 전하고 있다. 관람객들은 라스베이거스의 한복판에서 충북 인등산을 모티프로 한 한국의 울창하고 상쾌한 숲을 체험할 수 있다.
인등산은 SK그룹이 추진하는 탄소저감 사업의 출발점이다. 1972년 한국 최초로 기업형 조림사업을 시작한 고(故) 최종현 선대회장은 투기로 조림사업이 중단되는 것을 막기 위해 수도권과 먼 벌거숭이 산이었던 인등산, 광덕산 등을 사들여 직접 나무를 심기 시작했다. 이곳에 심은 나무 중 호두나무와 자작나무 등 고급 활엽수종만 400만 그루가 넘는다.
이러한 최종현 선대회장의 DNA는 SK그룹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선도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은 ESG 경영을 강화하며 새로운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SK의 녹색 숲(Green Forest) 콘셉트로 구성된 SK관은 4개 구역으로 구성된다.
총4개 구역 중 첫번째인 '그린 애비뉴(Green Avenue)'에서는 ▲청정(Clean) ▲안전(Safe) ▲편의(Convenient) ▲건강(Healthy) 등 4가지 핵심 가치 별로 SK의 반도체·ICT, 전기차 배터리 및 소재, 수소 에너지 영역의 친환경 혁신 기술과 제품이 전시된다.
두번째 구역인 '생명의 나무'(Tree of Life)에서는 SK그룹 관계사들과 SK가 투자 혹은 협력하고 있는 파트너들의 다양한 넷제로 비즈니스와 이를 통한 탄소 절감 효과가 9개 생태계 영역으로 나뉘어 소개된다. 9개 영역은 ▲전기차 생태계 ▲수소 생태계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 ▲플라스틱 생태계 ▲친환경 반도체 생태계 ▲클린 솔루션 생태계 ▲CCUS(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생태계 ▲라이프스타일 생태계 ▲탄소 없는 사회(Carbonless Society) 생태계 등이다.
이 외에도 SK그룹은 전시의 주제인 '동행' 취지를 살려 관람객들이 탄소 감축에 직접 참여하고 기여할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내일로 가는 발걸음'(Walk to Tomorrow)과 '그린 플레이그라운드(Green Playground)' 구역을 마련해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탄소 절감 방법들을 배우고 체험하도록 도울 예정이다. 체험을 통해 지급되는 '그린포인트'는 베트남의 맹그로브 숲을 살리는 데 기부된다. 관람객들은 SK가 투자한 대체식품 기업의 시식 코너에서 다양한 제품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