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HMM·대한항공, 운임 최고가 경신에 실적 상승…2월 물류난 심화 전망

HMM 홍콩호.

바다에서 시작된 물류난이 하늘로도 이어지며 운임 상승세가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물류난으로 해운과 항공의 운임 비용이 상승하면서 국내 해상과 항공업계의 실적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해운 운임은 지난해부터 연일 최고점을 경신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제 물류대란으로 인한 적체 현상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확산으로 항만 인력 부족으로 물류 정상화는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다.

 

실제 글로벌 해운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7일 5109.6포인트까지 상승했다. 지수는 9주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면서 이날 2009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재 SCFI는 시간이 흐를수록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 1000포인트를 오르내리던 SCFI는 그해 11월 27일 2000포인트를 넘어섰다. 이어 지난해 4월 30일 3000선, 7월 17일 4000선을 각각 넘어섰고, 지난달 31일에는 사상 최초로 5000선(5046.66포인트)도 돌파했다.

 

이같은 분위기는 올해도 지속되고 있다. 9주 연속 상승한 SCFI는 전주 5000선 돌파에 이어 5100선(5109.6포인트)마저 넘어선 상태다.

 

운임료 상승으로 국내 대표 해운사인 HMM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실적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항만 내 병목현상으로 인해 선박이 제때 돌아오지 못해 공급은 줄어들 수 밖에 없다"며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항만 인력 부족 현상이 해결되지 않으면 운임비는 계속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바닷길이 막히면서 항공화물 운임도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우고 있다.

 

글로벌 항공화물 운송지수인 TAC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홍콩~북미 노선 운임은 1kg당 12.72달러를 기록했다. 2015년 1월부터 통계를 집계한 이래 사상 최고가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직전인 지난해 1월(3.14달러)과 비교하면 4배 이상 올랐다.

 

임인년(壬寅年) 새해 첫 날인 1일 오전 인천공항 대한항공 화물터미널에서 근무자들이 수출 화물을 싣고 있다.

홍콩(아시아)과 미국을 잇는 이 노선은 항공화물 물동량이 가장 많은 대표 노선이다. 홍콩~북미 월평균 운임은 지난해 ▲6월 7.89달러 ▲7월 7.90달러 ▲8월 8.64달러 ▲9월 9.74달러 ▲10월 9.94달러 ▲11월 11.54달러 ▲12월 12.72달러 등 7개월 연속으로 상승했다. 올해 1월에는 11.10달러로 내려 갔지만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3배 이상 상승했다. 홍콩~유럽과 프랑크푸르트~북미 등 다른 노선도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해상물류 차질이 장기화됨에 따라 항공운송으로 전환되는 수요 증가와 여객기 벨리카고(Belly Cargo) 수급 불안이 항공운임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대한항공은 매출액에서 화물사업부 비중이 70%를 넘어선다는 점에서 올해도 안정적인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은 12일 인천공항에 위치한 대한항공 화물터미널을 찾아 "최근 주요 항로에서 화물스페이스 부족 및 운임 급등의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항공화물 긴급수출 물류 지원사업'을 연장한 것에 감사하다"며 "올해도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물류난을 헤쳐 갈 수 있도록 정부와 유관기관의 지속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해운과 항공 운임 비용은 2월에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춘절(설·2월1일) 전후 중국 회사들이 장기 휴무에 들어가면 물류난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