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방/외교

F-5계열 추락사고, 근본 해결책은 과감한 퇴역조치뿐

11일 오후 1시 44분께 경기 화성시 정남면 관항리 태봉산 일원에 F-5E 전투기 1대가 추락한 가운데 군 관계자 및 경찰들이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11일 공군 제10전투비행단 소속 F-5E 전투기 추락으로 순직한 조종사에 대한 애도와 함께, F-5계열 전투기의 조속한 퇴역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사고가 난 F-5E 기종은 1986년 대한항공이 노스럽(Northrop:지금의 노스럽그러먼)으로부터 면허생산한 것으로 40년 가까이 한국 공군에서 운용된 노후기체다. 사출좌석 등에 대한 개선이 있었지만, 전투기 엔진의 출력저하 등의 문제로 후속기종으로의 교체가 절실한 상황이다.

 

공군 조종사 출신의 예비역 장교는 12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F-5E/F와 F-4E는 모두 퇴역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까운 조종사들의 목숨만 앗아갈 것"이라며 "KF-21의 도입계획이 10여년 정도 늦어지면서 노후기체의 퇴역도 지연된 것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전투기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심각한 노후기종을 퇴역시켜야 만이 조종사의 안전을 지키고 전투력 보존할수 있다"면서 "군용기 국산화도 좋지만, 그 계획만을 기다리고 노후기종을 계속 운영한다면 득보다 실이 많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실제로 미국 등 군사선진국은 전투기 교체에 따른 전력 공백과 대안방법을 매우 중요시한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FA-50을 추가적으로 도입하자는 주장도 나오지만, 한국의 전장환경에 맞지않는 시대착오적 경공격기이기 때문에 100대 이상을 운용하는 주력기로서는 제한이 된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전력 공백을 최대한 줄이면서 노후기종을 일소하기 위해서는 ▲군사외교 협상 등을 통한 미공군과 미해병대의 원정비행단 소속 3개 원정비행대대를 3~5년간 주둔요청 ▲미국을 비롯한 우빙국에서 퇴역시키는 F-16 중고기체를 도입 ▲긴급사업으로 F-15EX(K)와 F-35A 등의 추가도입 등의 대안방법이 제기되고 있다.

 

전날 순직한 심 모 대위는 기체 이륙후 좌우 엔진 화재경고등이 켜졌고, 기수가 급강하해 비상탈출을 시도했지만, 기지 서쪽 약 8km 떨어진 경기도 화성시 인근 야산에 추락했다.

 

한편, 공군은 참모차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행사고 대책본부를 구성해 정확한 피해상황을 확인하고, 사고 원인에 대해 조사를 펼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