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가 임인년 설을 앞두고 가치소비와 친환경을 생각한 선물세트를 다양하게 선보였다. 플라스틱을 줄이고 친환경 포장재 이용을 늘렸으며, 가격대를 다양하게 구성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코로나19와 오미크론 등장에 비대면 명절이 유력해지고 있는 가운데, 고향을 방문하지 못하는 것을 대신해 정성을 담은 선물을 준비하는 것은 어떨까.
CJ제일제당이 종이만 사용해 만든 세트 등 230여 종의 설 선물세트로 '가치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 마음을 사로잡는다.
이번 설에 종이 포장재만 사용한 '포장이 가벼운 스팸 선물세트' 2종을 처음 내놓았다. 제품을 고정하는 트레이를 플라스틱 소재에서 종이로 교체하고, 분리배출도 쉽게 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만들었다.
이외에도 스팸 캡을 제거한 선물세트 등 환경을 고려한 패키징 개선을 통해 이번 설에만 387톤의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였다. 지난 설에 비해 플라스틱 사용 저감량을 2배 넘게 확대했다.
SPC삼립의 떡 프랜차이즈 '빚은'이 오는 설날을 맞아 '설 선물세트 37종'을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빚은은 임인년 새해를 맞이하여 '福호랑이 선물세트', '福감사세트', '福장수가래떡세트' 등 1만원대부터 12만원대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선물세트를 출시했다.
대표 선물세트인 '福호랑이 모듬떡세트'는 단호박과 초코칩을 넣은 호랑이 모양의 '福호랑이 설기'와 7가지(흑미, 자색고구마, 쑥, 콩, 호박, 흑임자, 밤) 영양찰떡, 달콤한 '왕 찹쌀떡'등으로 구성해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빚은 마케팅 담당자는 "신축년 새해에는 '빚은 설선물세트'로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마음을 전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정관장이 건강을 걱정하는 현대인들을 위해 '알파프로젝트 스탠다드라인 9종'을 선보이고 전문적인 건강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
'알파프로젝트 스탠다드라인 9종'은 비타민 4종(멀티비타민미네랄·칼슘마그네슘비타민D·비타민C·비타민D)과 프로바이오틱스, 오메가3, 루테인, 밀크씨슬, 프로폴리스으로 구성됐다.
대표 제품인 '알파프로젝트 멀티비타민미네랄'은 12종의 비타민과 무기질을 400㎎ 초소형 정제로 만들어 목 넘김이 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초소형 정제란 다양한 기능성 원료들을 하나의 정제 형태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첨가물들을 최소화하여 기능성 함량의 비율을 높인 고기술력 정제다. 한편, KGC인삼공사는 설 시즌을 맞아 '올 설엔 서로의 응원이 되어주세요' 프로모션을 2월 3일까지 진행한다. 최근 항산화 식품으로 초콜릿이 주목받고 있다. 카카오에 함유된 폴리페놀과 플라바놀, 카테킨 등의 효능이 밝혀지면서 적당량을 운동과 함께 섭취하면 유익하다고 알려져 남성들에게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참고로 폴리페놀의 특징중에 대표적인 효능은항산화 효과이다.
국내 초콜릿 시장에서 높은 카카오 함량으로 인기를 얻는 제품은 롯데제과의 '드림카카오' 초콜릿이다. 드림카카오는 2006년 출시된 하이카카오 초콜릿으로 건강지향적인 소비자들의 웰빙 니즈를 위해 선보인 제품이다.
드림카카오 82% 제품 한 통에는 1420㎎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다. 이는 블루베리 100g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드림카카오 82% 제품의 폴리페놀 함량이 9배 이상 함유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드림카카오 56% 제품 한 통에는 900㎎의 폴리페놀이 들어 있고, 드림카카오 72% 제품 한 통에는 1220㎎의 폴리페놀이 들어 있다.
종합식품기업 사조대림이 친환경 선물세트와 실생활에 활용도가 높은 다양한 제품을 구성한 실속 있는 가격대의 선물세트를 강화했다.
특히 프리미엄 캔햄 안심팜의 플라스틱 뚜껑을 제거한 '뚜껑 없는 안심팜'이 적용된 선물세트를 지난해보다 세 배 늘어난 18종으로 확대했으며, 비닐코팅 방식의 선물세트 쇼핑백과 폴리우레탄 재질의 쇼핑백 손잡이를 종이 재질로 전면 교체하는 등 친환경 선물세트를 더욱 강화했다.
주력 제품으로는 ▲안심특선 E-45호 ▲안심특선 E-34호 ▲안심특선 88호 ▲안심특선 A호 ▲안심특선 해피호 ▲안심특선 22호 등이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