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휴젤, 지난해 매출액 2452억 16.5%↑…사상 최대 실적 경신

휴젤이 또 한 번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휴젤은 지난 2021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2452억원으로 전년 대비 16.2% 늘었고, 영업이익 971억원으로 24.4% 늘었다고 10일 밝혔다. 영업이익률도 2.6%포인트 오른 39.6%를 기록했다.

 

회사측은 국내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선도 지위 확립 및 글로벌 시장 내 가시적인 매출 성장을 주요 동력이라 설명했다. 휴젤 대표 제품 보툴리눔 톡신의 지난해 국내외 매출은 전년비 13.8% 증가했다. 국내 시장의 50% 가까이 선점하며 '6년 연속 시장 점유율 1위'를 지켰다.

 

지난해 해외 매출도 전년 대비 36.3%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국내 기업 최초로 진출한 중국 시장 매출이 본궤도에 오르며 아시아 매출이 전년비 30.7% 늘었다. 휴젤은 지난해 2월 '레티보 온라인 론칭회'를 시작으로 중국 현지 유통을 본격화했다. 중국 유통 파트너 사환제약과 현지 법인 '휴젤 상하이 에스테틱' 협업 아래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 전개로 진출 첫 해 목표였던 시장점유율 10%를 달성, 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HA필러 역시 상승 기류를 타며 지난해 국내와 해외 시장 매출이 각각 전년비 24.1%, 24.4% 늘었다. 특히, 라틴아메리카의 경우 각국 현지 파트너사와의 긴밀한 협력 아래 지난해 보툴리눔 톡신 매출이 전년비 2배(129.7%)이상 급증한데 이어 동기간 HA필러 매출도 3배(260.8%) 이상 껑충 뛰었다. 유럽 역시 지난해 전년 대비 62% 증가한 매출을 달성하며 현지에서의 시장 입지를 꾸준히 넓혀 나가고 있다.

 

휴젤은 올해 글로벌 시장 확대를 본격화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보툴리눔 톡신 주요 3개국의 현지 시장 진출 완료를 중점 과제로 삼았다. 먼저, 지난해 가장 앞서 시장에 진출한 중국의 경우 올해 시장점유율 2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27일 국내 처음으로 프랑스 국립의약품청(ANSM)의 품목허가를 획득, 유럽 1분기 첫 선적 및 론칭을 앞두고 있다. 올해 내 영국,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를 포함한 유럽 11개 진출을 완료해 내년까지 유럽 36개국 진출을 마무리 짓겠다는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미국 품목허가 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3분기 내 캐나다와 호주의 품목허가도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새롭게 론칭한 프리미엄 필러 브랜드 '바이리즌'을 통해 600억 스킨부스터 시장에도 도전하고 있다.

 

휴젤 관계자는 "제품 안전성과 유효성, 그리고 차별화된 영업 마케팅 전략을 토대로 오랜 시간 쌓아온 휴젤의 기업 가치와 신뢰도를 통해 다시 한번 사상 최대 매출 경신이라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 "올해 중국, 유럽, 미국을 비롯해 세계 주요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는 만큼 '메디컬 에스테틱 산업의 글로벌 선도기업 도약'이라는 기업 기치 실현에 주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