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뷰티

올리브영 '로켓뷰'·아모레 '커스텀미'…뷰티 초개인화 서비스 강화

아모레퍼시픽 커스텀미가 앱을 통해 피부 분석 서비스, 1:1 전담 매니저 서비스를 내놓는다. /아모레퍼시픽

국내 뷰티기업들이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스마트 뷰티에 진출하고 있다. 화장품과 관련해 초개인화된 추천 서비스를 장착하는가 하면, 고객의 피부타입, 선호도 등을 반영한 개인 맞춤형 화장품 기술을 선보인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헬스앤뷰티 스토어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은 빅데이터 기반 AI 스타트업 '로켓뷰'를 인수하고 상품 추천 엔진을 도입한다. 디지털사업본부 산하에 AI 추천 엔진 조직을 신설하고, 초개인화 큐레이션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올리브영은 이를 위해 지난해 7월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디지털(IT) 인력 채용에 나서는 등 디지털 기획과 개발 역량의 내재화 비중을 8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올리브영이 인수한 로켓뷰는 지난 2017년부터 스마트폰 카메라로 화장품 상품명을 촬영하면 최저가와 상품 속성, 성분 등의 상품 정보를 알려주는 '찍검(찍고 검색)' 서비스 앱을 선보이며 빅데이터 기반 플랫폼을 개발 및 운영한 스타트업이다. 딥러닝 기반 광학 문자 인식(OCR) 수집 솔루션을 통해 화장품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품 속성 데이터와 고객 행동 데이터 등의 빅데이터를 엮어 상품 AI 추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역량을 갖췄다.

 

연간 1억건을 웃도는 고객 구매 데이터를 축적해 온 올리브영은 로켓뷰가 보유하고 있는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올해 온라인몰에 인공지능(AI) 추천 시스템을 구축한다. 고객들의 쇼핑 패턴과 상품 데이터를 다각도로 수집하고 분석하며 맞춤형 상품 추천을 한층 정교화한다.

 

대표 뷰티기업 아모레퍼시픽도 1:1 라이프 뷰티 맞춤 브랜드 '커스텀미'를 론칭하고 모바일 피부 분석 서비스, 피부 밸런스 맞춤 제품, 1:1 전담 매니저 서비스를 통한 고객 개개인에게 특화된 맞춤 뷰티 컨설팅 등을 제공한다.

 

커스텀미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피부 분석과 스킨케어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는 피부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커스텀미 브랜드 홈페이지에서 얼굴 사진을 촬영하고 간단한 질문에 답변하면, 피부 고민에 따른 맞춤 분석과 솔루션을 확인할 수 있다. 피부 연구 전문가가 평가한 고품질 임상 데이터를 활용해 커스텀미에서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 피부 분석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보다 정밀하고 전문적인 분석 결과를 준다.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매 순간 달라지는 피부 컨디션에 맞춘 '피부 밸런스 맞춤 에센스' 제품도 바로 만나볼 수 있다. 극건조, 트러블, 붉은기, 각질, 가려움의 5가지 민감 증상을 맞춰주는 '민감기 에센스'와 주름/탄력, 미백/항산화, 시카케어 등 3가지 피부 고민을 맞춰주는 '활성기 인핸서' 구성으로 맞춤 케어를 제공한다.

 

커스텀미의 피부 분석 서비스와 피부 밸런스 맞춤 제품을 사용한 고객이라면 '커스텀미 플러스' 앱에서 제품 인증 후 1:1 전담 매니저 서비스도 경험할 수 있다. 8주간 매니저를 통해 자신의 피부에 올바른 뷰티 케어 가이드를 받아볼 수 있으며, 일상을 더욱 건강하고 아름답게 가꾸는 다양한 라이프 뷰티 콘텐츠도 추천받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뷰티 시장에서의 '개인 맞춤화'는 아름다움에 대한 획일적 기준보다 고유한 미와 건강을 찾으려는 소비자들의 변화를 반영한다"면서 "주요 기업들이 그동안 쌓아온 데이터에 고도화된 기술을 더해 뷰티 테크 시장으로 선도하고 있다. 초개인·맞춤·디지털화가 업계의 새 경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