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학벌이 채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 감소

학벌이 채용에 미치는 영향 관련 설문조사 결과./ 사람인

기업들이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호하고, 수시 채용과 블라인드 채용이 증가함에 따라 학벌이 채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은 지난 1월 25~28일 기업 290개사를 대상으로 '학벌이 채용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42.8%가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2020년 조사 때 53.5%보다 10.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다만, 대기업(66%)은 중소기업(38.3%)에 비해 학벌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비율이 27.7%포인트 높았다.

 

실제로 과거에 비해 좋은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 차이가 있는지를 묻자 '줄어들고 있다'는 답변이 49%로, '늘어나고 있다'는 응답(11%)의 5배가량 됐다. 나머지 40%는 '비슷하다'고 답했다.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이 없는 이유로는 '업무 능력과 큰 연관이 없어서'(76.5%·이하 복수응답)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밖에 '학벌 좋은 직원은 과한 대우를 원하거나 조기 퇴사 등을 많이 해서'(28.9%), '기존 채용 시 만족도가 낮아서'(7.8%), '기존 직원들에게 위화감을 줄 수 있어서'(6%)가 뒤를 이었다.

 

반면, 학벌이 채용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기업들은 '학벌에 따른 역량 차이가 있어서'(66.1%)를 그 이유로 들었다. 이어 '지원자의 노력에 대한 인정 차원에서'(38.7%), '객관성이 있는 채용 조건이어서'(27.4%), '활용 가능한 인맥이 많아서'(12.9%), '기존에 채용 시 만족도가 높아서'(12.1%) 순이었다.

 

이들 기업이 선호하는 학벌은 '서울 소재 상위 10위권 대학'(51.6%)이 가장 많았다. '서울소재 4년제 대학'(50%), '지방거점 국립대학'(38.7%), '카이스트 등 명문 특수대학'(9.7%)이 그다음이었다.

 

입사 후 좋은 학벌이 상위 고과나 고위임원 승진 등 개인의 성취에 영향을 미쳤을까? 응답자의 26.2%는 학벌이 직원 개인의 성취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좋은 학벌이 영향을 끼치는 부분에서는 '주요 부서, 프로젝트 등 배치'(46.1%), '임원 등 고위직 승진에 유리'(36.8%), '관리자, 고위 임원들의 관심을 받음'(35.5%), '동창, 명문학교 출신 직원 간 인맥 형성'(25%), '비슷한 성과에도 좋은 인사고과를 받음'(15.8%)이라는 답이 주를 이뤘다.

 

이와 달리 학벌이 직장 내 개인의 성취와 연관이 없다고 밝힌 응답자들(214명)은 그 이유로 '업무 능력과 학벌은 별개 문제여서'(72%)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밖에 '성과 위주로 공정하게 평가하고 있어서'(42.5%), '자만하거나 융화가 안 되는 등 악영향이 있어서'(10.7%)라는 답변도 나왔다.

 

기업들은 좋은 학벌의 직원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근속기간이 짧고 금방 이직'(49%), '역량에 비해 과대평가'(37.6%), '과도한 처우 요구'(37.2%), '학벌이 좋지 않은 직원에게 위화감 조성'(12.8%), '동문, 명문 출신끼리 파벌을 형성'(9.7%)을 꼽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