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

김대수 지음/브라이트

 

약 2년 전 절친한 친구와 정치 문제로 말다툼을 벌이다 절교할 뻔한 적이 있었다. 서로 지지하는 정당이 달라 '니가 맞니, 내가 맞니' 옥신각신하다 감정이 격화돼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며 길거리 한복판에서 대판 싸웠다. 십대 청소년도 아니고, 서른 넘어서 친구랑 싸우다 눈물, 콧물을 질질 짜게 될 줄이야.

 

다신 안 볼 것처럼 헤어진 후 반년 정도 연락을 끊었다. 요새 말로 손절한 셈이다. 다행히 친구가 밴댕이 소갈머리를 가진 필자에게 먼저 화해의 손길을 내밀었다. 그는 "왜 우리가 잘못한 일도 아닌 걸 가지고 이렇게 싸워야 하느냐"며 "다시 전처럼 친하게 지내자"고 했다. 이 사건 이후 둘 사이엔 '대화 중 정치 얘기는 꺼내지 않는다'는 암묵적인 룰이 생겼다. 아마 이번 대선에서 각자 다른 후보를 뽑았으리라 짐작만 하고 있다.

 

10일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48.56%의 득표율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47.83%)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두 후보 간 표차가 24만7077표로 역대 대선 최소 격차라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 현재 대한민국은 양극단으로 분열된 상태다. 필자와 친구가 정치 문제와 관련해 겉으로는 아무 말 않고 있지만, 속으로는 '내가 맞고, 네가 틀리다'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은 사람들이 왜 의견이 다른 이들을 헐뜯으며 못 잡아먹어 안달인지 그 이유를 알려주는 책이다. 책에 따르면 뇌는 최소한의 지식으로 인간이 생존할 수 있는 완벽한 세상을 머릿속에 만들어 놓았다. 우리가 같은 상황을 두고 이야기를 하다가 상대방에게 화를 내는 이유는 그의 뇌가 담고 있는 최소한의 지식이 나의 것과 달라서다.

 

저자는 "정치의 세계에선 진보와 보수라는 두 개의 큰 프레임이 자리 잡고 있다. 뇌 속에서 만들어진 정의와 자유의 개념이 서로 다른 것을 이해하면 좋은데, 그렇지 못하니 상대방이 사라져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늘 싸우게 된다"며 "뇌 속에서 만들어진 세상을 관찰해 그 한계를 깨닫는다면 실제 현실과 뇌 속의 세계 사이 간극에서 오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그러면서 "자신을 기준으로 한 가치체계는 실존 세상과 다를 수밖에 없다"며 "현실 세계에선 어제의 악마가 오늘의 천사가 되고, 그 반대도 얼마든 가능하다. 인간의 역사는 사회적 편견과 그것을 극복한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고 말한다. 288쪽. 1만58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