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특징주

[metro 관심종목] 최대실적에도 '삼성전자' 연저점…증권가 목표주가는?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 손진영기자 son@
지난 3개월간 삼성전자 주가 및 거래량 변화 추이. /한국거래소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깜짝 실적을 달성했다. 반면 주가는 연저점인 6만원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거시환경 불확실성과 노트북·스마트폰 등의 수요 감소가 이어지면서다. 증권업계는 올해 2분기 말부터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8일 삼성전자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200원(-0.29%) 하락한 6만7800원에 장을 마감했다. 3거래일 연속 연저점을 기록하며, 이른바 '6만전자'에 갇혀있는 모양새다. 올해 들어 삼성전자의 주가는 13.4% 하락했다.

 

지난 7일 삼성전자가 내놓은 1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은 77조원, 영업이익은 14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7.76%, 50.32% 급증했다. 증권가 전망치(매출 75조2000억원·영업이익 13조원)보다도 높은 수치다. 신제품인 갤럭시S22 시리즈 흥행, D램 가격 하락세를 극복한 반도체 실적 선방, 프리미엄 제품 위주의 시장 공략 등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삼성증권은 '10만전자'가 단순한 희망사항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황민성 삼성증권 연구원은 "화웨이 제재로 스마트폰 사업에서 시간을 벌었지만 '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GOS)' 이슈가 발생했고 파운드리 수율 부진으로 일부 고객이 떠나간 점은 실망스럽다"면서도 "스마트폰이 1분기 깜짝 실적을 냈다는 것은 자체 부품 조달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증거"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과 유럽이 반도체 주도권을 되찾으려 유도하고 있지만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은 대체 불가능하다는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NH투자증권은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가 최대 실적을 기록한 데 주목했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데이터센터 중심의 양호한 수요와 반도체 업계의 보수적 투자로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폭이 과거 다운사이클 대비 상당히 양호하다"며 "원가관리 노력으로 이익률도 양호하다"고 말했다.

 

주요 증권사의 기업분석보고서(리포트)를 살펴보면 NH투자증권과 다올투자증권이 10만5000원으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를 가장 높게 책정했다. 이어 현대차·키움·삼성·DB·IBK투자증권 10만원, SK증권 9만8000원 등이다.

 

반면, 거시환경 불확실성 등으로 삼성전자 주가가 기대만큼 오르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실제로 하이투자증권(9만4000원→8만9000원), KB증권(10만원→9만원), 하나금융투자(10만1000원→9만5000원), 유진투자증권(9만3000원→8만8000원)은 삼성전자의 1분기 잠정실적 발표 후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황은 올해도 호조를 이어가고 있지만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코로나19 이후의 소비 패턴 변화를 고려할 때 내년까지 4년 연속 디램(DRAM)의 성장세가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며 "특히 삼성의 기술력과 미래에 대해 물음표가 찍히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다만 현재 주가가 올해 추정 주가 변동 범위의 하단이라는 점에서 2~3분기 중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크게 증가했던 전 세계 노트북, 스마트폰 출하량이 실판매 부진에 따른 재고 증가로 올해 들어 둔화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며 "지난 3월 중순 이후 디램 현물가격의 하락세가 지속 중이며, 하반기 IT 및 메모리 반도체 수요개선에 대한 시장의 확신이 점차 약화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송 연구원은 "향후 경기와 수요 개선을 확신할 수 있는 인플레이션 압력 해소와 미국과 중국 정부의 완화적인 통화 정책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삼성전자의 주가가 6만원대 초중반에서 8만원대 초중반 구간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