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휴젤, HA필러 ‘더채움’ 중국 품목허가 획득…"현지 에스테틱 시장 제패"

휴젤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15일 중국 의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HA(히알루론산)필러 '더채움'(수출명 Persnica, 중문명 붜안룬)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9일 밝혔다.

 

앞서 휴젤은 높은 잠재 시장인 중국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선점을 목표로 2020년 10월 국내 기업 최초로 중국 보툴리눔 톡신 시장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이어 같은해 10월 HA필러 제품에 대한 품목허가 신청서도 제출했다.

 

이후 지난해 2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수출명 Letybo)의 현지 시장 진출을 마쳤으며, HA필러도 이어 허가를 받았다.

 

휴젤은 오는 3분기 HA필러 현지 론칭을 앞두고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현재 중국 필러 시장에는 약 20개 업체, 제형 별로 30개 이상의 제품이 진출해 치열한 경쟁이 펼치고 있다. 휴젤은 시장에 최적화된 마케팅 활동 전개를 통해 후발주자로서의 입지를 빠르게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HA필러 더채움의 현지 유통 및 마케팅 활동은 보툴렉스와 마찬가지로 현지 파트너사 사환제약이 담당한다. 사환제약은 중국의 대형 제약사로, 현지 최적화된 마케팅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보툴리눔 톡신 제제와의 시너지를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주 소비층을 겨냥한 마케팅 활동도 준비 중이다. 중국 필러 시장은 보툴리눔 톡신 시장과 마찬가지로 20~30대가 주 소비층이다. 휴젤은 윤곽시술에 대한 관심이 높은 현지 타깃층의 수요에 맞춰 관련 시술 테크닉 개발부터 이를 토대로 한 학술 콘텐츠 개발까지 중국 의료진 및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휴젤 관계자는 "지난해 중국 보툴리눔 톡신 시장 진출에 이어 이번 HA필러의 품목허가 획득으로 중국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 제패라는 기업 목표에 한걸음 더 가까워졌다"며 "휴젤의 더채움 HA필러는 우수한 제품력을 인정받으며 국내뿐 아니라 유럽 등 세계 시장에서도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새롭게 진출하는 중국 시장에서도 현지를 대표하는 필러 제품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 HA필러 시장은 지난 2020년 약 9500억원(49억 위안) 규모에서 2023년 약 1조9300억원(10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2025년에는 약 3조원(157억 위안)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