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철강/중공업

'철강 슈퍼사이클' 국내 철강업계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 기대감↑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

국내 철강업계가 지난해부터 이어진 '철강 슈퍼사이클'에 힘입어 올해도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포스코홀딩스가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달성한 데 이어 현대제철도 글로벌 철강 시황 회복에 힘입어 실적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올해 1분기 매출 6조9797억원, 영업이익이 697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1.7%, 129.5%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6.2%에서 3.8%포인트 상승한 10.0%를 기록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글로벌 철강 시황 회복세라는 외부적 요인과 주요 전략제품별 영업활동을 통한 판매 확대로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은 향후에도 판매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수익성 중심의 사업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안정적인 수익기조를 유지 한다는 방침이다. 각 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글로벌 자동차강판 판매 부문에서 연초 계획을 초과 달성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후판은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안정적인 물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철근의 경우 기존 판매가에 반영하지 못했던 추가 비용을 현실화해 가격체계가 개선됐다.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 구조개편을 진행한 점도 눈에 띈다. 현대제철은 '수익성 중심의 철강사'로 전환하기 위한 구조개편의 일환으로 올 2월 자회사인 현대비앤지스틸에 STS사업 자산양도를 완료해 1021억원의 자금을 회수했다. 연구개발 부문에서도 자동차 성능 향상 및 경량화에 대한 지속적인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고자 고성능, 고강도 철강소재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고 했다. 경량화와 충돌 내구성을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 분야에 적용되는 1.5GPa MS강판(열처리로 형질이 바뀐 강철 조직) 개발을 완료했으며, 세계 최초로 1.8GPa 핫스탬핑 도금강판을 양산했다.

 

특히 현대제철은 자동차 강판 등 주요 철강제품 가격 인상이 본격화되면서 2분기도 호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원료가격 급등 추세에 따라 철강재 가격도 올라가고 있다"며 "특히 중국 감산 정책과 철강 수출 제재가 지속되고 있어 저가 수입산 유입도 어느 정도 제어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로 석탄 가격 급등했으나 러시아, 우크라 철강 공급 중단으로 일시적으로 유럽 지역 등의 공급이 타이트하다"며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철강 시장의 가격 단가는 상당히 괜찮은 편"이라고 덧붙였다.

 

또 "실수요 및 가전, 유통 부분에 대한 가격 인상을 단행할 예정"이라며 "수출 제품은 고가 지역 위주로 단가 인상법을 확보했기 때문에 2분기 안정적인 스프레드(원재료와 최종 제품가격 차이)를 확보하는 데 문제는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3고로.

포스코홀딩스는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첫 분기 실적발표에서 시장 전망치를 뛰어넘은 깜짝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철강부문뿐 아니라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케미칼 등 비(非)철강 계열사도 기대 이상의 성과를 냈다.

 

포스코홀딩스는 올 1분기 연결 기준으로 21조3000억원의 매출과 2조3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시장 전망치(각각 19조9987억원, 1조6954억원)를 넘어서는 깜짝 실적이다.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면서 수익성을 지켰다. 조선 등 주요 전방 산업에서 철강재 주문이 쏟아진 것도 기대를 웃도는 이익을 올린 배경으로 꼽힌다.

 

포스코, 현대제철과 함께 국내 철강 '빅3'인 동국제강도 1분기 실적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동국제강이 올 1분기 매출 2조131억원, 영업이익 150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2%, 37.4% 증가한 규모다. 동국제강이 지난해에 이어 올 1분기까지 호실적을 이어갈 수 있는 배경에는 철강제품 값 인상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원자재값 상승이 제품가격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또 자동차, 조선업계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철강재 주문도 늘어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국내 철강재 시장은 가격 인상에도 수요가 공급을 앞서가는 상황이 장기화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분기도 1분기 대비 실적이 소폭 하락할 수 있지만 우려할 만큼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