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TV의 한계를 넘어선 홈쇼핑의 진화는 '고객 중심, 초개인화'

SK스토아 '스토아ON' 'ON Vision' 2.0 공개
빅데이터 취합해 고객에 맞춤 영상·추천 상품 제시하고
제작자에게는 더욱 고객 중심적인 제작 환경 제공
메타버스·미디어 결합한 3.0 내년 출시 목표로 개발 중

SK스토아 명대호 스토아ON 팀장이 27일 공개한 스토아ON 2.0을 시연하고 있다. 스토아 2.0은 지난 2019년 공개한 1.0 버전에서 한 발 더 나아가 고객에 초점을 맞춰 개인화 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SK스토아

초개인화 시대에 TV쇼핑도 가세한다. 그동안 고객은 필요한 상품이 있을 때 방송 시간을 기다리는 다소 수동적인 존재였지만 이제는 달라졌다. 전 TV쇼핑 채널의 종합적 환경과 고객의 시청 데이터까지 분석한 데이터로 초개인화 된 서비스가 TV쇼핑 채널 시청자를 찾아간다.

 

SK스토아는 '스토아ON(온)', '온비전(ON Vision)' 2.0을 27일 선보였다. 스토아ON은 고객 맞춤형 쇼핑 콘텐츠와 기능을 제공하고, 온비전 2.0은 전 홈쇼핑 채널을 분석하는 솔루션 서비스다.

 

SK스토아는 2019년 이미지 클라우드 기반 TV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스토아ON 1.0 버전을 공개했다. 1.0 버전은 고객이 상품마다 영상 중심 설명을 들으며 전화를 걸지 않고 리모콘이나 받는 ARS로 주문 할 수 있도록 했다. 원하는 상품 검색과 리뷰 작성까지 제공하며 온라인쇼핑의 TV 버전이라 할 수 있었다.

 

3년 만에 새로 공개한 스토아ON 2.0은 한발 더 나아갔다. 스토아ON 2.0을 처음 접하면 홈쇼핑 화면이 아닌 '넷플릭스' 등 OTT 화면을 보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는 스토아ON 2.0이 온라인 친화적인 시청자들의 편의를 고려한 사용자 환경(UI)를 채택했기 때문이다.

 

UI뿐만이 아니다. 스토아ON 2.0은 고객맞춤형 쇼핑 환경 제공을 위해 유명 OTT 알고리즘 방식인 매트릭스 팩토라이제이션 추천 엔진을 적용했다. 해당 알고리즘은 고객이 TV를 시청하고 주문한 데이터 전체를 분석해 흥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되는 상품 방송을 추천하고 사은품까지 고객 성향에 맞춰 제공한다.

 

여기에 더해 최근 폭발적인 인기를 토대로 성장 중인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방송 'SK스토아 쇼핑라이브'까지 실시간 시청 및 채팅이 가능하다. TV라는 매체 특성상 고객은 수동적인 포지션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지만 스토아2.0은 고객을 능동적인 주체로 바꿨다.

 

초개인화에 성공한 스토아ON 2.0은 이미지가 아닌 비디오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커머스를 채택했다. 그러나 이용을 위해 기존 이용하던 셋톱박스나 TV를 바꿀 필요는 없다. 스토아ON2.0 버전을 지원하는 셋톱박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SK스토아 채널을 기존 고객의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OTT와 유사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다.

 

스토아ON 3.0은 내년 출시를 목표로 이미 개발을 진행 중이다. 3.0은 메타버스, 웹툰, 음원서비스 등과 결합한 새로운 홈쇼핑 서비스 패러다임을 제시할 예정이다.

 

SK스토아 측 관계자는 "스토아ON 2.0은 TV 개인화 서비스의 시작이고 미래에는 메타버스 등과 결합해 방송 제작 지원까지 강화할 수 있는 3.0으로 거듭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스토아 2.0의 방송화면. 기존 1.0 화면의 상단 메뉴바가 좌측 네비게이션 구조로 바뀌었다. 변화한 UI를 통해 고객은 쇼핑 영상을 쉽고 편리하게 검색하고 시청할 수 있다. 더불어 중심 화면에 보이는 '○○○님의 취향저격 베스트 화면''관심브랜드 모아보기' 등은 고객이 그동안 시청하고 주문한 데이터의 산물이다. 스토아 2.0은 각각의 고객에 맞춤형 쇼핑 환경을 제공한다. /김서현 기자

온비전 2.0은 스토아ON 2.0의 저변 기술이다. TV 시청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온비전은 SK스토아 내부의 제작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과거 1.0 버전이 쇼핑 방송 데이터만 제공한 반면 2.0은 쇼핑 채널뿐 아니라 일반 채널의 전·후 광고 시간과 시청률, 인입콜(Offered Call, 고객센터 외부에서 걸려온 모든 콜), 주문 데이터를 연계 분석한다. 편성 정보와 시청자 정보 등을 총망라 해 시각화 함으로써 제작자들이 더욱 시청자 친화적인 방송을 제작할 수 있게 돕는다.

 

2.0이 타사의 모든 방송 데이터를 분석하는 만큼 제작자들은 상대적 순위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방송 당일, 같은 요일, 같은 카테고리, 같은 방송 등 4가지 기준으로 상대적 실적 우열 순위를 매긴다.

 

SK스토아 관계자는 전 채널을 넘나드는 데이터 취합에 대해 "측정 데이터는 엄청난 빅데이터기 때문에 시청자의 습성 정보 등 세세한 부분은 우리 채널에서만 얻고 있다"면서 "다른 채널에 대한 데이터들은 다양한 창구에서 취합하는데, 일부 웹 등에 공개 된 자료까지 사용 한다"고 설명했다.

 

4월 현재 스토아ON 2.0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가구는 약 420만 가구로 IPTV 가입자 중 22%다. SK스토아는 이를 10월까지 7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윤석암 SK스토아 대표는 스토아ON의 끊임없는 변화와 혁신을 시대 변화에 따른 생존책이라고 말했다. 그는 "TV 시장이 지속해서 축소되는 상황에서 TV 홈쇼핑이 살아남기 위해선 보다 정교한 타깃 마케팅이 필요했다"며 "데이터와 ICT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더 나은 쇼핑 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한 결실"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