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월 사회적 거리두기 수도권 2단계·비수도권 1.5단계
백화점 업계, 신년 첫 정기세일 건너뛰고 연 봄 정기세일에서 '명품 불패' 확인
올해 4월, 방역규제 전면 해제 예고부터 해제까지
매출 견인 상품 '패션·뷰티'로 수장 교체
오프라인 대형 마케팅 이벤트 돌아와 200만명 모으고
시식코너·메이크업쇼까지 집객 최대로
코로나19의 풍토병(엔데믹)화로 '길거리 경제'가 활기를 띠면서 유통업체들의 얼굴도 밝아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이맘때까지만 해도 유통가는 온라인 매출에 의존 하는 고난을 겪었다. 1년 만에 완전히 바뀐 일상 속의 유통가 변화를 지난해 팬데믹 시기 4월과 엔데믹 시대가 도래한 지난달 두 시기를 비교해봤다.
◆2021년 4월, 명품 보복소비 확인…"명품 없이는 어렵다"
지난해 4월은 명품 보복소비가 본격화하면서 유통가 명암이 뚜렷하게 엇갈리며 수치로 나타나기 시작한 때다. 1월 에르메스를 시작으로 인기 명품 브랜드들이 줄지어 최대 15%까지 가격을 올리고, 루이비통은 한 달에 2번까지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이 탓에 물건의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높아지는 '베블런 효과'를 부추겼고 '명품 오픈런'이 일상화 했다. 1월 신년 정기세일을 건너뛰고 연 4월 봄 정기세일에서 백화점 업계는 처음으로 명품 보복소비의 구체적인 매출을 확인했다.
당시 백화점업계는 약 20일 간의 봄 정기세일에서 평균 45% 매출이 상승했다. 신세계백화점 51%, 롯데백화점 40%, 현대백화점 44%, 갤러리아 45%로,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 봄 정기 세일과 비교해서도 신세계백화점은 34%, 현대백화점은 22%, 롯데백화점은 19%, 갤러리아백화점은 64% 치솟았다. 세일 첫 주말 매출 신장률도 기록적이었다. 현대백화점은 주말 동안 71.3%에 달하는 매출 신장률을 보였다.
여세를 몰아 백화점은 온라인 강좌로 대체하기 어려우면서 동시에 소인원에게 적합한 체험형 문화센터 강좌를 고안하고 골프, 캠핑 등 다수가 아닌 소수가 즐기는 아웃도어 스포츠와 하이브랜드 브랜드를 론칭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이때 1인 가구의 의식주를 겨냥해 자동차 정비법이나 혼술·혼밥에 초점을 맞춘 MZ세대 타깃의 요리 강좌 등을 열었다. 롯데백화점은 등산화와 아웃도어 용품을 함께 구성한 편집숍 '카라반 캠핑샵(노원점)', '더기어샵(잠실점)', '본토샵(청량리점)'을 잇따라 열었다.
대형마트는 아이러니한 모습을 보였다. 소매유통업체들은 향후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했지만 실제로 실적이 크게 개선되지는 못 했고, 점포 구조조정이 본격화 하면서 노조 저항을 맞닥뜨렸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조사한 지난해 2분기 소매유통업 체감경기 경기전망지수(RBSI)에서 대형마트는 95포인트(p)를 기록했는데 전 분기 대비 52포인트(p) 오른 수치였다. RBSI는 100에 가까울수록 유통업체가 다음 분기 소매 유통업 분기를 긍정적으로 예측한다는 의미다.
당시 업계 관계자들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한 것을 원인으로 짚었다. 그러나 실제로 당시 대형마트의 수익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지난해 4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서 백화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5% 오른 반면 대형마트는 -2.8% 줄었다. 특히 식품군 매출이 3개월 연속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였다.
마트 업계는 비식품 분야에서 매출을 지키던 리빙 매출까지 떨어지자 홈술 열풍에 탑승해 유명 브루어리 와인을 쏟아냈다. 이때 폭발적으로 늘어난 주류 품목을 통한 수익은 12월 연말까지 계속 이어졌다.
◆2022년 4월,드디어 시작한 엔데믹… 오프라인 이벤트에 옴니채널 효과도
올해 4월 1일 약 2년 만에 오프라인 마케팅 이벤트가 등장했다.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 설치된 15m 크기의 롯데홈쇼핑 마스코트 '벨리곰'이 주인공이었다. 2주 동안 200만 명의 관람객을 끌어 모은 벨리곰의 뒤를 이어 '월리를 찾아라'의 월리 조형물(현대백화점), '댕댕운동회'를 포함한 펫페스티벌(신세계 스타필드) 등이 쏟아졌다.
지난달 유통가는 방역규제 전면해제로 봄바람을 한껏 맞았다. 수백만 명을 부르는 대형 오프라인 마케팅 이벤트가 열렸고 2년 만에 메이크업쇼, 시식코너 등이 돌아왔다. 코로나19 사태가 오기 전과 달라진 것은 높은 물가에도 꺾이지 않는 소비심리와 긍정적인 경기 전망뿐만이 아니었다. 지난 2년간 e커머스가 바꿔놓은 유통지형이 있었다.
유통가에서는 온·오프라인 채널을 융합하는 옴니채널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올라 이를 정교화 하는 작업이 계속 이어졌다. 지난달은 유통가가 온·오프라인 전방위로 펼치는 마케팅 쇼에 가까웠다.
전년도와 가장 달라진 곳은 백화점 업계다. 이번해 4월에도 진행한 봄 정기세일에서 백화점업계는 또다시 큰 실적을 올렸지만 매출을 견인한 품목이 바뀌었다.
이번 정기세일에서 각 백화점은 전년 동기 대비 ▲신세계백화점 28.2% ▲롯데백화점 20% ▲현대백화점 20.1% 매출 상승을 기록했다. 지난해 3사 평균 73.6% 수준의 매출 신장세를 보인 명품은 외출복을 중심으로 한 리오프닝 품목 뒤에 섰다. 지난해 봄 가장 높은 명품 매출 신장세를 보인 신세계 백화점의 주요 매출 상승 품목은 아웃도어(45.3%)를 선두로 남성패션(29.7%), 여성패션(28.4%), 명품(22.7%), 생활(18.3%) 순이었다.
백화점 업계는 방역규제 해제 수혜를 크게 받을 것으로 보이는 상품목을 중심으로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한편, 대규모 오프라인 마케팅 이벤트를 벌였다. 신세계백화점과 롯데백화점은 '웨딩'에 초점을 맞추고 예비부부에게 추가 할인혜택을 제공하거나 관련 멤버십에 가입한 고객을 대상을 혜택을 제공했다.
지난해 울상을 지었던 마트 업계는 시식 코너를 중심으로 매출 증대 효과를 봤다.
3일 롯데마트가 밝힌 바에 따르면 4월25일부터 재개하고서 직전 영업주 대비 전체 매출이 7% 올랐다. 주말만 따로 보면 15% 늘었다. 특히 시식행사를 진행한 카테고리들이 폭발적으로 매출이 상승하며 시식 행사의 위력을 과시했다. 비빔면이 70% 신장했고 냉동만두 30%, 계절과일 25%, 수입육 40% 등을 기록했다.
엔데믹을 맞으면서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옴니채널의 실적을 확인할 기회도 있었다.
롯데쇼핑은 롯데백화점과 그룹 통합 온라인몰 롯데온을 연계했다. 12일 롯데온에 연 프리미엄 뷰티 전문관 '온앤더뷰티'는 롯데백화점 점포를 방문해 샘플을 받을 수 있는 '샘플 쿠폰'을 발급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양쪽 모두에 고객이 방문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달 처음 서비스를 선보이고선 신청 시작 하루 만에 준비된 물량을 모두 소진했고 계속 폭발적인 인기를 구가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