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M-커버스토리] 반도체·원자재가격 상승 '카플레이션' 본격화

반도체.

'개소세 연장되면 그때 구매해야지.' '이번달 프로모션 잘나왔나?'

 

과거 자동차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은 다양한 할인 혜택을 꼼꼼히 비교하며 수백만원을 할인받던 시절이 있었다. 완성차 업체들이 판매량 경쟁을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내놓은 덕분이다. 하지만 코로나 19이 이후 자동차 시장의 흐름을 보면 이같은 혜택은 다시는 받을 수 없는 구조로 바뀌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부족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조짐을 보이면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차량 가격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 부두.

◆車 반도체 정상화 아직 멀어…MCU 국산화 바람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는 지난 2020년 12월부터 본격화됐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야외활동이 줄어 자동차 판매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차량용 반도체 주문량을 줄이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생산 업체는 차량용 반도체 생산을 줄이고 가전과 스마트폰용 반도체 생산을 늘리기 시작하면서 악몽은 시작됐다.

 

여기에 차량용 반도체 주요 생산공장이 위치한 중국과 동남아 국가가 지난해 코로나 델타 변이 확산으로 도시 봉쇄조치를 내리면서 공장의 문을 닫는 등 생산 차질이 본격화됐다. 이후 회복이 안되면서 차량 반도체 수급난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중국 정부가 자동차 부품 공장이 밀집된 상하이를 봉쇄하면서 완성차 업계에 어려움을 더하는 모양새다.

 

2021년 초 완성차 업체들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 안정화 시점을 하반기, 늦어도 2022년에는 정상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여전히 반도체 문제는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회복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현대차는 올해 초 지난해 실적 발표에서 "올해 2분기부터 반도체 공급난이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폴크스바겐은 지난달 "2024년에도 차량용 반도체 공급이 수요를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현대차 울산공장 생산라인

이 때문에 국내 기업들은 차량용 반도체 개발 등 사업 경쟁력 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LG전자는 차량용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LG전자는 최근 독일 시험·인증 전문기관 TUV 라인란드로부터 'ISO 26262' 인증을 받아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전력관리반도체(PMIC), 전자제어장치(ECU) 등 차량용 반도체 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LG전자는 지난해 말부터 MCU 등 차량용 반도체 개발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차량용 반도체 사업은 LG전자 내 반도체 연구개발(R&D) 조직인 SIC센터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를 비롯해 LX세미콘, 텔레칩스, 어보브반도체 등 국내 팹리스 업체들도 최근 차량용 MCU 개발에 뛰어들었다. 또 현대자동차도 부품 공급이 장기화되자 현대모비스, 현대오토에버 등을 통해 자동차 반도체 내재화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차량용 반도체 고급 부족 장기화로 지난해 MCU 편균가격이 전년 보다 10%상승했으며 2026년까지 연평균 3.5% 오를것으로 전망되면서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차량용 MCU 시장은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내연 자동차 1대당 MCU는 약 200~300개가 사용되지만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는 1000개 이상이 탑재되기 때문이다.

 

현대차 그랜저

◆수급 부족·원자재값 상승으로 '카플레이션' 본격화 조짐

 

자동차 생산부족과 맞물려 원자재 가격 인상까지 겹치면서 '카플레이션(Car+Inflation)'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도 신차 출시와 함께 가격 인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올해 국내 완성차 업계는 전년 대비 3~5% 가격을 인상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자동차 부품 공급난과 중국 봉쇄에 따른 원자재 수급난에 따른 것이다. 올해 초 한국지엠 쉐보레가 출시한 대형 SUV 트레버스의 부분 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은 이전 모델 대비 가격이 인상됐다.

 

현대차 아반떼도 지난해 1570만원부터 시작했지만 올해 연식 변경을 거친 뒤 300만원가량 인상된 1866만원에서 시작된다. 현대차의 베스트셀링 모델인 그랜저도 가격이 인상됐다. 그랜저는 지난해 3303만원에서 올해 3392만원으로 89만원 인상됐다.

 

르노코리아의 볼륨 모델 XM3도 연식 변경에 따라 가격이 올랐다. XM3의 경우 지난해 1787만원부터 시작했지만 올해는 1865만원부터 시작해 최저 가격이 78만원 올랐다. 메르세데스-벤츠의 'C클래스' 가솔린 모델은 지난해 5920만원에서 올해 6150만원으로 인상됐다. 업계에서는 연식 변경을 통해 상품성을 강화하고 고급 사양을 기본 적용에 따른 가격 인상이라는 입장이다.

 

가장 큰 문제는 전기차의 가격 인상이다. 아직까지 완성차 업계에서는 전기차 가격에 대한 언급을 꺼리고 있지만 원자재가격 인상에 따른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배터리의 핵심 광물인 니켈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세계 3위 니켈 생산국인데 러-우 전쟁 이후 공급 불안으로 폭등세를 보였다. 지난 3월 톤당 4만5795달러까지 올랐다. 지난해 말(2만925달러)의 두 배 수준 이상으로 급등했다. 니켈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로 양극재에 60% 이상 들어간다.

 

이에 따라 테슬라와 리비안에 이어 루시드로 전기차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미국 전기차업체 루시드는 다음달부터 전기차 가격을 11~13% 인상할 방침이다. 루시드의 '에어 그랜드 투어링' 가격은 15만4000달러(1억9600만원), '에어 투어링'과 '에어 퓨어'는 각각 10만7400달러(1억3600만원)와 8만7400달러(1억1100만원)로 오른다.

 

전기차 업체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반영해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테슬라코리아는 지난 3월15일 모델3 롱레인지와 모델Y 퍼포먼스·롱레인지 가격을 최대 440만원 인상했다. 같은달 11일 이들 모델 가격을 100만~200만원가량 올린지 나흘 만이다. 보급형 세단 모델인 모델3 롱레인지와 승용형 다목적차(SUV) 모델Y 롱레인지, 모델Y 퍼포먼스 가격도 각각 350만원, 310만원, 440만원 인상했다.

 

리비안도 지난 3월 전기 픽업트럭 R1T와 SUV R1S를 각각 17%, 20% 인상했다. 사전 예약 고객의 항의가 빗발치자 가격 인상을 신규 고객에 적용하는 것으로 방침을 바꾸기도 했다.

 

모델Y. /테슬라코리아

업계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와 차량용 부품, 원자재 가격 등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걸친 문제라 단기간 해결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 기업들이 차량용 반도체 생산에 나서도 올해까지는 회복되기 어려워보인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