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닻 올린 '롯데바이오로직스'…미국 BMS 시러큐스 공장 인수

뉴욕주 시러큐스시에 위치한 BMS 바이오 의약품 생산 공장 시설 내부 풍경. 공정 작업자가 탱크에서 용액 수치를 확인 중이다. /BMS

롯데가 새로운 신성장동력으로 세운 바이오·헬스케어 사업의 밑그림을 빠른 속도로 그리고 있다. 

15일 롯데는 6월 전까지 롯데지주 산하에 자회사 '롯데바이오로직스'를 신설하고 2030년 글로벌 톱 10 바이오 CDMO(위탁개발생산) 기업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10년 간 바이오 의약품 사업에 약 2조 5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며 첫 걸음으로 해외 생산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지난 13일 롯데는 이사회를 열고 미국 뉴욕주 시러큐스시에 위치한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Bristol-Myers Squibb) 바이오 의약품 생산공장 인수를 의결했다. 

인수규모는 1억 6000만 달러(약 2000억원)이며 최소 2억 2000만 달러(약 2800억원) 규모의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 계약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롯데는 공장 인수 후에도 BMC와 협력관계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롯데와 BMS 양 사는 각종 규제 승인 완료 등을 전제로 2022년 하반기 중 거래가 완료 될 것으로 예상 중이다. 

이번 공장 인수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주도했다. 지난 4월 미국 출장 중 시러큐스 공장을 직접 살폈다.

롯데 신동빈 회장은 이사회에서 "BMS 시러큐스 공장의 우수한 시설과 풍부한 인적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며 "지속적인 투자를 바탕으로 롯데와 시너지를 만들어 바이오 CDMO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잡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에 롯데가 인수하기로 한 BMS의 시러큐스 공장 전경. 1943년 미국 정부의 페니실린 대량 생산을 위해 설립됐다. /BMS

이번 인수전에서 활약한 이원직 롯데지주 신성장2팀장은 "시러큐스 공장은 임상 및 상업 생산 경험이 풍부해 즉시 가동할 수 있는 공장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바이오 산업에서 롯데가 빠르게 성과를 낼 수 있는 최적의 매물로 판단했다"며 "사업 초기 항체 의약품 CDMO 집중을 통해 바이오 사업자로서 역량을 입증하며 사업 규모와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시러큐스 공장은 생화학자, 생물학자, 엔지니어 등 420명의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시러큐스 공장은 현재 동·식물 세포를 이용한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임상시험용 의약품 소량 생산과 바이오 의약품 대량 생산 방안을 연구 중이다. 

PD-1 억제제 옵디보(Opdivo)와 여보이(Yervoy), 면역억제제 뉴로로직스(Neurologics),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 엠플리시티(Amplity) 등이 이곳에서 만들어졌다. 리서치 업체 EP(Evaluate Pharma)은 2026년 세계 처방약 시장에서 옵디보는 예상 매출 133억 달러를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는 더불어 시러큐스 공장이 64개국 이상의 GMP(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승인을 통해 대량 생산 시스템에서도 의약품 품질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기술 역량을 갖춘 점도 높이 산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는 공장 인수 후에도 신규 제품 수주 및 공정 개발 등 역량 강화를 위해 추가 투자를 이어간다. 항체 의약품 CDMO 사업 확장은 물론 완제의약품(DP : Drug Product)과 세포·유전자 치료제(Cell· Gene Therapy) 생산이 가능한 시설로 전환한다. 시러큐스 공장 운영과 바이오 제약사가 밀집된 북미 지역 판매 영업을 위한 미국 법인 설립과 10만 리터 이상 규모의 생산 공장 건설도 계획하고 있다.

이훈기 롯데헬스케어 대표 (롯데지주 부사장)은  BMS 인수와 관련해 "최첨단 시설인 시러큐스 공장을 글로벌 제약 사업에 추가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를 통해 북미 지역에서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을 빠르게 확장하고 확장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지난 3월 이사회를 통해 롯데지주는 신성장동력이 될 미래사업으로 바이오·헬스케어 사업을 제시했다. 이어 지난 5일 '롯데바이오로직스' 상표를 등록하고 업종을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CMO)로 한다고 밝혔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오는 6월 미국 샌디에이고 바이오 업계 행사 '바이오 USA'에 참석할 예정이다. 

롯데의 바이오·헬스케어 사업 진출은 지난해 8월 가능성이 떠올랐다.롯데지주는 8월 ESG 경영혁신실 산하에 바이오팀(신성장2팀)과 헬스케어(신성장3팀)을 신설했다. 헬스케어팀은 헬스케어 전문회사 '롯데헬스케어'를 설립하는 등 구체적인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편, 전세계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매년 증가세로 2020년 3천4백억 달러에서 2026년 6220억 달러로 연 12%이상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