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철강/중공업

국내 조선사 수주 호황에도 깊은 한숨…원자재 가격 부담은 여전히 고민

울산 현대중공업 전경

국내 조선업계가 연초부터 수주 랠리를 이어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함박웃음을 짓지 못하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글로벌 공급망 타격, 주요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악재로 오히려 실적 개선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은 아시아 소재 한 선사로부터 1조1682억 원 수준의 LNG 운반선 4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과 현대삼호중공업에 각각 2척씩 배정하고 오는 2025년 여름까지 세부 설계와 건조, 인도까지 마친다는 계획이다.

 

삼성중공업도 17일과 18일 연달아 수주 소식을 알렸다. 지난 17일에는 아프리카 지역 선사로부터 8623억원 규모의 LNG 운반선 3척을 수주했고, 18일에는 오세아니아 지역 선사로부터 LNG 운반선 2척, 5913억원 규모 계약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친환경 선박(LNG를 추진 연료) 수주량은 전체의 71%(12척, 22억 달러 규모)에 달한다. 두 업체가 이번주 수주에 성공했다고 밝힌 규모만 2조6000억 원이 넘는다.

 

두 업체를 비롯해 국내 조선업 수주는 호황을 맞고 있다. 각사는 지난해부터 올해 4월까지 2013년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은 1~4월까지 연간 수주 목표인 174억 달러의 64.1%를, 대우조선해양은 89억 달러에서 52%를 달성했다. 삼성중공업도 목표액 88억 달러에서 40%를 달성한 상황이다. 특히 LNG운반선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분석 업체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17만 4000㎥급 LNG운반선의 신조선가는 2020년말 1억 8600만 달러에서 지난 4월말 기준 약 20% 상승한 2억 24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문제는 조선업계가 연일 수주 소식을 알리며 실적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올리고 있지만 원자재 가격 인상에 따라 실적은 악화되고 있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은 지난 1분기 각각 2174억원, 4701억원, 94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후판을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수익성을 악화시켰다. 선박을 지어주기로 수주한 물량에 대한 원가 상승분을 미리 비용으로 반영하면서다. 국내 조선 빅3은 작년 4분기에도 후판 가격 상승에 따른 충당금을 쌓으면서 수천억원대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바 있다.

 

반기 단위로 후판 공급 가격 협상을 하는 조선업계와 철강업계는 지난해 하반기 공급분에 대해서는 톤당 50만원을, 올해 상반기 공급분에 대해서는 10만원을 각각 올리는 데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톤당 60만원이던 후판 가격이 1년만에 두 배로 오른 것이다. 후판 값은 선박 건조 비용의 약 20%를 차지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수주계약 체결 후 원가 부담이 확대되면서 실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며 "올해는 원자재 가격이 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인력난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는 여전히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