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실적 발표 마무리…상장 유통기업 총 매출액 약 58조원에 전년比 26.7% 상승, 영업이익 41.4% 올라
신사업 포트폴리오 늘어난 GS리테일 등 일부 기업에서만 영업손실 등장
팬데믹→엔데믹 변화에 기민한 대응 필요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상황에 美 유통기업들 속수무책
국내 유통가에 미칠 영향도 현재 미지수
유통업체들의 1분기 매출이 코로나19의 타격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유통업체들의 1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유통업계 전반은 전년 동기대비 47.79% 매출이 증가해 전체 상장사 608개사(금융업 등 제외)의 평균치인 24.18%를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일부 유통사들은 조 단위의 매출액을 발표하며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기대감만으로도 큰 수익을 거뒀음을 알렸다.
다만, 괄목할 매출 실적에도 영업손실을 기록한 기업이 등장하는 등 실제 사업의 효율성을 두고 유통사 간 희비가 엇갈렸다.
22일 한국거래소가 분석한 상장 유통기업들의 총매출액은 58조34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7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62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14% 상승했다.
이번 1분기 공시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한 기업은 이마트다. 전년 동기 대비 18.8% 오른 7조3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 또한 120.5% 상승해 1316억원이었다.
롯데쇼핑, 신세계, GS리테일, BGF리테일 등도 최대 37조원에서 최소 1조원대를 기록했다. 1조 매출에는 실패했으나 현대백화점그룹은 9344억원의 매출을 내며 1조원에 근접한 매출을 올렸는데, 영업이익 889억원에 순이익 754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 더불어 뉴욕 증시에 상장한 쿠팡도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인 6조5902억원을 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2% 증가했다. 순손실도 29.1% 줄어들어 상장 후 최소치인 2696억원이었다.
대부분 유통대기업들이 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동안 홀로 높은 매출액에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역성장한 기업도 있었다.
GS리테일은 1분기 2조5985억원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273억원, 순이익 52억원을 기록했으나 정작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은 23.7%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7.2%, 순이익은 84.9% 하락하며 어닝쇼크를 일으켰다. 증권가에서는 GS리테일이 광범위하게 펼치는 신사업들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GS리테일은 옴니채널을 통한 퀵커머스 사업을 광범위하게 펼치고 있는데, 사업 초창기인 까닭에 큰 비용을 지출하면서도 수익은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반면 GS리테일과 가장 많이 비교된 BGF리테일은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75% 급상승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배달·픽업 서비스에 큰 힘을 쏟기 보다는 이색 점포와 즉석식품 개발 등 편의점의 기본에 충실하면서 새벽배송 서비스를 B2B로 전환한 것이 재무건전성을 높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업계관계자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옴니채널이 필수로 떠오르고 더불어 배송전쟁이 이어졌는데, 이 상황이 엔데믹 시대에도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미지수"라며 "팬데믹과 엔데믹이 교차하는 시기기 때문에 사업 개진이나 중단에 신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방역규제 완화에 이어 4월 방역규제 전면 해제, 5월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 중지까지 이어지며 소비재를 다루는 유통가는 장밋빛 미래를 그리는 상황이다. 지난해 말 증권가는 올해 유통산업 전망에 대해 "사회적 거리두기 확대가 소비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더 이상 방역규제가 실적에 영황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더불어 본격적인 방역규제 해제가 백화점·마트·편의점·면세점 등 오프라인 채널의 큰 매출 성장을 일으킬 것으로 봤다.
실제로 이번 1분기는 전년도 12월부터 다시 시작한 고강도 방역규제가 3월 중순까지 이어졌는데 소비자심리지수(CCSI)의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12월 103.9포인트였는데, 이번해 1분기 4개월 간 평균 103.6포인트를 기록하며 미미한 차이만 있었다. 코로나19가 처음 확산하던 2020년 2월과 3월 당시 소비자심리지수는 19.09% 급락한 바 있다.
불안한 지점은 있다. 한국보다 일찍 리오프닝에 들어가고 한동안 잔치를 벌인 해외 유통업체들이 잇따라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아 부진한 실적을 내놓고 있다는 점이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타깃, 홈디포 등 유통업체가 비용 부담 등의 이유로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고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면서 "기업 실적을 통해 경기 둔화 신호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유통업체의 운송 비용이 크게 더 들었고, 소비자들도 재량적인 지출을 줄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4월 역설적으로 유통업체의 부진 속에서도 소매 판매 지표가 건실하게 나타난 것은 현재의 소비성향을 유지하려는 '톱니효과(ratchet effect)' 때문이라고 짚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