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롯데그룹, 5년 간 37조(兆) 이르는 대대적 투자 계획 발표

롯데케미칼 'Every Step for Green' 전시를 찾은 신동빈 회장이 19일 100% 재활용이 가능한 자체개발 HDPE 소재로 제작한 '가능성(Possibility)'호를 살펴보고 있다.롯데는 37조원에 이르는 5년간의 투자 계획에서 롯데 케미칼에 1조 6000억원 이상을 배치했다. /롯데지주

롯데가 향후 5년 간 총 37조원에 달하는 투자를 단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신성장 테마인 헬스 앤 웰니스(Health&Wellness), 모빌리티(Mobility),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부문과 함께 화학·식품·인프라 등 핵심 산업군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이후 위축됐던 유통·관광 산업 역량 강화를 위한 시설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

 

롯데는 지난해 바이오·헬스케어 사업 전개 계획을 밝힌데 이어 바이오 의약품 CDMO 사업 진출을 위해 해외 공장을 인수했다. 지난 15일 롯데는 미국 BMS의 시러큐스 공장을 인수한 데 이어 1조원 규모의 국내 공장 신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모빌리티 부문에서는 올해 실증 비행이 목표인 UAM(도심항공교통)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 중심으로 투자한다. UAM 사업은 그룹이 보유한 오프라인 거점을 기반으로 지상과 항공을 연계한 국내 교통 인프라 구축에 힘을 보탠다. 유통·호텔 등 운영 점포와 연계 복합 충전스테이션 설치 등 충전 인프라 사업도 본격화한 롯데는 시설 투자를 통해 연간 충전기 생산량을 1만대 이상 규모로 확대하기로 했다. 롯데렌탈도 8조원 규모의 전기차 24만대를 도입할 예정이다.

 

화학 사업군은 지속가능성 부문에 대한 투자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롯데케미칼은 5년간 수소 사업과 전지소재 사업에 1조6000억원 이상을 투자할 예정이다. 국내 수소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국내외 전략적 파트너와 연내 합작사를 설립할 방침이다. 수소 충전소 사업과 발전 사업을 추진하며 배터리 전해액, 차세대 ESS 사업이 주요 투자처다.

 

리사이클과 바이오 플라스틱 사업에도 2030년까지 1조원을 투자한다. 구체적으로는 친환경 리사이클 제품 100만톤을 생산할 계획이다. 화학 사업군에서도 7조8000억원을 투자해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과 범용 석화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설비 투자와 생산 기지를 증설하기로 했다.

 

국내 스타트업 지원과 투자에도 공을 들인다. 롯데벤처스는 2026년까지 국내 스타트업에 36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계획 중이다. 롯데벤처스의 스타트업 육성 투자 프로그램인 엘캠프뿐만 아니라 푸드테크(미래식단), 헬스케어 등 국민 건광과 관련된 전문 분야로도 투자 영역을 넓힌다.

 

유통 사업군은 8조1000억 원을 투자해 대대적인 리뉴얼 작업에 나서기로 했다.

 

롯데백화점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 인천 송도 등에 대규모 복합몰 개발을 추진하고 본점, 잠실점 등 핵심 지점의 리뉴얼을 차례로 진행할 예정이다. 롯데마트는 1조원을 투자해 제타플렉스, 맥스, 보틀벙커 등 특화 매장을 투자 계획을 세웠다. 호텔 사업군은 관광 인프라 핵심 시설인 호텔과 면세점 시설에 2조3000억원을 투자해 방역규제 전면 해제 후 있을 세계적 여행 붐을 겨냥해 해외 관광객 유치에 나선다. 식품 사업군도 와인과 위스키를 중심으로 성장하는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대체육, 건강기능식품 등 미래 먹거리와 신제품 개발 등에 총 2조1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롯데 측은 5년에 걸친 37조원에 이르는 투자를 통해 국내 지역경제 및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