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外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에즈라 클라인 지음/황성연 옮김/윌북

 

정치 양극화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 세계를 관통하는 하나의 현상이다. 내 편 아니면 네 편이라는 식의 편 가르기 행태 속에서 삶의 영역이 이분법으로 갈라지는 세계는 살기 좋은 곳이라고 말할 수 없다. 정당의 정책이나 이념의 다양성은 두 가지로 갈라질 수 있는 영역이 아닌데도 우리는 한가지 선택만을 강요받는다. 두 개의 편이 생겨날 때의 문제는 자신에게 돌아갈 이득이 없어도 '상대방이 지는 것'을 목적으로 정치적 선택을 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무의식과 비이성이 만들어내는 정치에서는 정책에 의한 투표가 불가능해지고 올바른 정당 정치로서의 참여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저자는 말한다. 양쪽 모두에게 상처만을 안기는 '미움의 정치'를 끝낼 방법을 제시하는 책. 344쪽. 1만8800원.

 

◆병든 의료

 

셰이머스 오마호니 지음/권호장 옮김/사월의책

 

바야흐로 의료 불신의 시대다. 환자는 몸이 나아지지 않았는데도 고액의 치료비를 청구하는 의사에게 화를 내고, 의사는 이미 다 알아보고 온 듯 처방을 요구하는 환자에게 염증을 느낀다. 책은 새로운 질병을 만들어내는 데에만 몰두하는 의료계, 예방을 명목으로 의미 없는 약물을 강요하는 의산 복합체, 치료와는 관계없이 연구 실적만 중시하는 과학주의, 그리고 환자의 권리를 내세워 의료라는 공공재를 소비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소비자주의 등 현대 의료의 문제를 낱낱이 까발린다. 저자는 "치료받아야 할 것은 환자가 아니라 현대 의료 자체"라고 일갈하며 '질병을 파는 현대 의료'를 고발한다. 344쪽. 1만8000원.

 

◆그랜드스탠딩

 

저스틴 토시, 브랜던 웜키 지음/김미덕 옮김/오월의봄

 

'그랜드스탠딩'은 관심을 끌려는 과시적 행위를 의미하는 말이다. 우리는 어떤 사안에 대해 대단한 분노를 표현하며, 자신이 역사의 옳은 편에 있음을 증명하려고 부단히 애쓰는 사람들을 SNS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이들은 저렇게까지 민감해야 굴 일인가 싶은 것에도 마치 무기 경쟁을 하듯 자신이 더 도덕적으로 예민하다는 사실을 전시한다. 진실이 무엇인지,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는 관심이 없다. '올바른 이야기'를 떡밥 삼아 관중들의 '좋아요'와 '하트', 즉 관심을 갈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도덕적 관종들이 하는 행위인 '그랜드스탠딩'이 어떤 얼굴을 하고 있으며, 그 해악은 무엇인지 설명한다. 도덕적이지 않은 도덕 이야기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법을 알려주는 책. 332쪽. 1만85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