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재테크

'암호화폐 대폭락' 1만9000달러 붕괴…바닥 더 남아

1만7000달러 붕괴시 1만달러 시간문제
쓰리애로스캐피털 마진콜 대응 '실패'
암호화폐 대위기 직면…투자심리 바닥

비트코인 1만9000달러가 붕괴되면서 하락세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코인마켓캡

암호화폐시장이 붕괴되면서 비트코인 1만9000달러도 붕괴됐다. 암호화폐 담보대출 업체들도 줄줄이 예금 인출을 중단하고 있어 전문가들은 바닥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19일 글로벌 코인시황 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가치가 2020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1만90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10일 3만달러가 무너진 지 일주일 만에 2만달러가 붕괴됐고 지난해 11월 최고가(6만9000달러) 대비 72% 폭락했다.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 역시 지난해 1월 이후 처음으로 1000달러가 붕괴됐다. 최고가 대비 97% 폭락한 수치다.

 

앞서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의 심리적 지지선을 2만달러로 제시하면서 붕괴시 대규모 매도세를 예측했다.

 

중국 가상화폐거래소 BTCC의 설립자 바비 리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2만달러 지지선이 붕괴될 경우 매도세가 가팔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2만달러 붕괴 직후 1만8000달러까지 24시간도 걸리지 않아 청산 포지션으로 전환되면서 하락세가 더 거세졌다.

 

전문가들은 1만7000달러까지 붕괴될 경우 1만달러 추락은 시간문제라고 보고 있다.

 

제이 햇필드 인프라스트럭처캐피탈 최고투자책임자(CIO)는 "2만달러는 중요한 기술적 저지선이었지만 2만달러가 무너지면서 올해 1만 달러 아래로 떨어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 역시 "비트코인의 1차 지지선은 1만7000달러, 2차 지지선은 1만2000달러다"라며 "만약 1만2000달러 선이 붕괴되면 빠르게 추락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재 암호화폐시장은 악재가 겹겹이 쌓여있다.

 

암호화폐 관련 대출업체인 '바벨 파이낸스'가 예금인출을 중단하면서 또 다시 투자자를 불안하게 만들었다.

 

2021년 말 기준 바벨 파이낸스의 대출 잔액은 약 30억달러(3조8850억원)다. 평균 월 파생상품 거래량은 8억달러, 옵션 상품은 200억달러 이상으로 규모가 적지 않은 암호화폐 대출업체다.

 

앞서 '셀시우스'도 인출을 중단하면서 시장에서 대규모 청산이 이뤄졌다.

 

전문가들은 대출업체들이 연이어 입출금을 중단하자 비트코인을 담보로 대출 받은 기업들의 마진콜(증거금 추가 납부 요구)사태도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암호화폐 대출업체 블록파이는 전날 가상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스캐피털(3AC)'이 마진콜 대응 실패를 확인하고 관련 담보를 청산했다.

 

바비 리도는 "비트코인을 담보로 은행 대출을 받은 기업들이 마진콜 사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이미 한 차례 흔들린 암호화폐 시장이 엄청난 수준으로 무너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투자심리도 바닥을 보이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에 따르면 해당 지수는 6포인트를 기록해 2019년 9월 22일 5포인트 이후 가장 나쁜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