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프레시지, 해외 사업·B2C 역량 강화에 집중

프레시지 정중교 대표(좌) CUPBOP 송정훈 대표(우)가 업무협약 체결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프레시지
두바이 원마트(ONE-MART) 온라인몰/프레시지

올해 'Beyond Korea'를 주요 사업 목표로 내세운 밀키트 기업 '프레시지'가 글로벌 간편식과 B2C 사업확장에 속도를 낸다.

 

프레시지는 '유타컵밥'으로 널리 알려진 미국의 한식 프랜차이즈 'CUPBOP Inc.'와 글로벌 간편식 개발과 수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협약식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프레시지 본사에서 'CUPBOP 송정훈 대표이사'와 '프레시지 정중교 공동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글로벌 간편식 공동 개발 ▲해외 수출 유통망 공유 ▲현지화된 글로벌 한식 제품의 국내 공급이다.

 

CUPBOP은 컵밥을 현지화해 판매하는 글로벌 한식 프랜차이즈 기업이다. 미국 유타주에서 푸드트럭으로 사업을 시작해 '유타컵밥'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현재 미국에 36개, 인도네시아에 109개에 달하는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미주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검증받은 아메리칸 한식 패스트푸드를 국내외 시장에 함께 선보인다.

 

CUPBOP은 이국적인 칠리마요 소스와 큼직한 원재료가 특징인 자체 제품 메뉴 레시피를 공유하고, 프레시지는 8000평 규모의 HMR 전문 생산시설을 활용해 국내 온, 오프라인 판매 채널용 상품과 수출용 상품을 생산하고 유통한다.

 

프레시지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를 비롯한 8개국에 140여 종에 달하는 간편식을 수출하고 있다. 이번 'CUPBOP' 제품 외에도 현지화된 글로벌 한식 메뉴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며 수출 경쟁력을 강화해가고 있다.

 

프레시지는 최근 두바이에 한식 밀키트부터 자회사 닥터키친의 단백질 디저트까지 총 17종의 제품을 수출했다.

 

수출 제품은 두바이 현지의 온, 오프라인 유통 채널인 원마트(ONE -MART)를 통해 판매중이다.

 

K-컬쳐 열풍에 따라 K-푸드의 수요가 아랍권에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프레시지는 중동의 허브라고 불리는 두바이 수출을 시작으로 중동 지역 수출 규모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프레시지 밀키트 공장/프레시지

한국산 식재료와 레시피로 만든 정통 한식의 맛을 해외에서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밀키트의 상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올해 중 15개국, 500만 불 수출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프레시지 측은 "해외 소비자가 접하는 한식인만큼 긍정적인 인상을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메뉴와 유형의 간편식 제품을 지속해서 수출하겠다"며 "이번 CUPBOP 협약을 통해 해외에서 검증받은 제품을 확보하게 된 것만으로도 수출 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국내 사업으로는 B2C 확대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프레시지는 지난해부터 닥터키친, 허닭, 라인물류시스템, 테이스티나인 등을 차례대로 인수하며 B2C 사업의 발판을 마련했다.

 

특히 테이스티나인과 약 1000억원 규모의 인수합병(M&A) 계약은 업계의 이목을 끌었다. 테이스티나인은 탄탄한 상품 기획, 생산, 유통 역량을 바탕으로 지난해 전년 대비 102% 증가한 47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바 있다. B2C 사업을 중점 운영해온 테이스티나인을 인수해 사업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다이어트족·헬스족에게 인지도가 높은 '허닭'과 '닥터키친'의 사업 역량을 활용해 식단관리 밀키트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프레시지의 광폭 행보는 코로나19 이후 밀키트를 비롯한 간편식 소비가 급증하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 전문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밀키트 시장 규모는 지난 2020년 기준 1882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1017억원 규모보다 85% 급성장한 수치다. 오는 2025년에는 7250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점쳐진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