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정책

3년여 임기 내려놓을 준비하는 '소상공인 구원투수' 조봉환 소진공 이사장

취임 1년뒤 코로나 팬데믹 터져…코로나 지원금 지급 '특명'받아

 

지도 없는 길 가며 업무 조율·지급 시스템 구축·직원 독려등 '최선'

 

조봉환 "고생은 좀 했지만 기여했으면 그것으로 충분…홀가분해"

 

1748만 소상공인에 30.2조 집행…손실보전·손실보상금 집행중

 

조봉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이 서울 마포의 한 시장에서 장을 보고 있다.

"고생은 좀 한 것 같지만 기여한 부분이 있으면 그것으로 됐다."

 

슬슬 떠날 채비를 하는 그는 천상 '공복'이다.

 

자신이 몸담았던 기관의 '고생'이 국민과 나라에 '기여'했으면 족하다는 말이다.

 

'소상공인 구원투수' 조봉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사진)을 두고 하는 말이다.

 

그의 '일복'은 2019년 4월 소진공 이사장으로 취임한 뒤 1년도 안돼 터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인 소진공에게까지 불어닥칠지 예상하기도 쉽지 않았던 때였다.

 

전국 70여 곳에 소상공인지원센터를 두고 소상공인, 전통시장 등의 정책과 자금을 집행하는 소진공에 소상공인 코로나 지원금 지급 '특명'이 떨어진 것은 2020년 상반기. "공직 생활을 돌아보면 내가 가는 곳곳마다 일들이 참 많았던 것 같다." 조 이사장이 주마등같이 지난 시간을 돌아보며 웃었다.

 

그는 행시 30회로 민주화 바람이 거세던 87년 5월에 수습사무관으로 공직에 발을 들여놓았다. 이후 농림부, 기획예산처, 기획재정부 등을 거쳤다.

 

소진공 이사장으로 부임하기에 앞서선 공무원으로선 정규직 끝인 1급을 중기부 중소기업정책실장으로 마무리했다. 30년이 훌쩍 넘는 긴 시간이다.

 

조봉환 소진공 이사장. /소진공

코로나 팬데믹 이후 그는 기관장으로서 '달콤함'은 커녕 숨돌릴틈도 없이 밤낮으로 뛰어다녀야했다. 700명이 넘는 소진공 임직원들도 마찬가지였다.

 

'새희망자금'으로 시작한 지원금은 이후 버팀목자금, 버팀목자금플러스, 희망회복자금, 방역지원금 등의 이름으로 모두 소진공을 거쳐 나갔다.

 

여러번 받은 이들을 포함해 총 1748만명의 소상공인들에게 30조2000억원을 온전히 소진공이 집행했다.

 

현 정부 출범 후 371만 곳을 대상으로 한 23조원의 손실보전금과 30일부터 94만곳에 나눠줄 3조5000억원의 1·4분기 손실보상금은 지금도 진행중이다.

 

처음 겪는 업무다보니 초기엔 시행착오도 많았다. 시스템을 갖추는데도 마찬가지였다.

 

기재부, 국세청,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건강보험공단 등 관계부처와 기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시중은행들과 협의하고 완벽한 시스템을 만들기까지 소진공은 인고의 시간을 보내야했다.

 

조 이사장은 "그 많은 돈을 집행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 (소진공이)그럴 만한 (업무)능력이 되는지 질문도 많이 받았다. 시행착오를 정말 많이 겪었다. 지금은 시스템도 잘 갖춰놨으니 괜찮다. 홀가분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그 어려운 일을 위해 조 이사장은 어떤 날엔 2시간만 자고 1만㎞의 거리를 이동해야하는 일도 있었다. 가뜩이나 많지 않은 그의 머리숱은 그 사이 하얗게 바뀌었다.

 

기관장인 자신이야 그렇다치더라도 야근을 밥먹듯이 하는 소진공 직원들이 민원인들로부터 '막말'을 들을 때면 정말 마음이 아팠다. 정부 지원금을 제대로 받지 못했거나, 생각보다 덜 받은 소상공인들의 민원을 현장 직원들이 고스란히 감내해야했기 때문이다.

 

조 이사장은 올해 초 출입기자들과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 "우리 직원들이 (민원인들에게)깨지기도 참 많이 깨졌다"면서 "애쓴 직원들을 위해 국민들께서 응원을 좀 해 달라"는 부탁을 언론을 통해 전하기도 했다.

 

소진공이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전달한 각종 지원금이 소상공인들에겐 '단비'가 됐지만 이는 조 이사장과 소진공 임직원들이 '비지땀'을 흘린 결과였다.

 

조봉환 소진공 이사장(왼쪽)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3번째)이 지난 5월16일 서울 종로의 한 상점가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소진공

이사장 임기를 서서히 마무리하는 지금 그는 임직원들에게 미안함도 적지 않다.

 

준정부기관인 소진공은 얼마전 기재부가 발표한 2021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결과 '양호(B)'를 받았다. 2년 연속 '양호' 평가를 받긴했지만 2년 넘게, 그리고 지금도 애쓰고 있는 소진공 식구들을 생각하면 올해엔 한 단계 더 높은 '우수(A)'를 받았더라면 더 좋았을 것이란 게 그의 솔직한 마음이다.

 

전관예우까지야 아니더라도 조 이사장 자신이 기재부 시절 공공기관 정책을 총괄하는 공공정책국장을 맡았기에 더 챙겨보지 못한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전통시장, 소상공인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소진공은 퍼포먼스가 다른 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노력도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다른 어느 기관에 비해 뛰어났다고 자부한다. 현장에선 정말 고생 많이 했다. 억울한 측면도 있다."

 

게다가 소진공은 중기부 산하 11개 공공기관 중 임금 수준이 가장 낮다.

 

3년 2개월 가량을 숨가쁘게 달려온 조 이사장은 다음달 임기를 내려놓고 바통터치를 한다.

 

코로나 기간 정말 일복이 많았던 그만큼 바빴던 공공기관장이 또 누가 있을까 싶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