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한국전기연구원, '소부장 우수 국가연구실' 선정

한국전기연구원 이차전지 연구개발 현장 모습. 사진/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의 '이차전지 기능성소재연구실'이 탁월한 연구수행 성과를 인정받아 소부장 우수 국가연구실(N-Lab)로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았다.

 

KERI 이차전지 기능성소재연구실은 세계최고 수준에 근접한 연구역량 및 인프라, 다수의 특허·기술 이전·산업 지원 실적 및 경험을 인정받아 2020년 9월 국가연구실에 지정됐다.

 

국내에선 독보적인 이차전지 인프라(드라이룸 172㎡, 성능 및 안전성 평가시설 330㎡, 화재 안전성 평가시설 200㎡, 레독스흐름전지 평가인증센터 2298㎡ 등)를 자랑하며, 총 44명의 연구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연구원은 전고체전지 및 리튬황전지, 수중함용 리튬이차전지 등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이차전지 산업계의 현안 문제를 해결한 공로를 인정받아 영예의 상을 받을 수 있었다.

 

주요 성과로는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저가 대량생산 핵심기술 개발 ▲수중함용 리튬전지모듈 성능 및 안정성 평가 표준 개발 ▲고에너지밀도 플렉시블 리튬황전지용 전극 구조체 제조 기술 개발 등이 있다. 무엇보다 이들 기술은 기업체에 이전돼 상용화 발판까지 마련했다는 측면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총 기술 이전 금액만 18억 4000만원에 달한다.

 

이 밖에도 KERI는 최근 3년간 피인용지수(Impact Factor) 10 이상의 우수 논문 15편 포함, 총 54편의 이차전지 관련 연구개발 논문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게재하며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KERI 엄승욱 차세대전지연구센터장은 "우리 연구원은 1993년부터 무려 30년간 연구를 수행해 온 리튬이차전지 개발 역사의 산실"이라며 "이번 수상에 안주하지 않고, 더 노력해 대한민국 전지 분야에서의 기술 독립을 실현하는 대표 연구실로 성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앞으로도 KERI는 이차전지가 가장 많이 활용되는 '미래 e-모빌리티' 분야에서 초격자 전지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K-battery 산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다는 목표다.

 

한편 KE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자립역량 강화를 위해 정부가 지정하는 국가연구인프라는 ▲핵심소재의 신속한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국가연구실(N-Lab) ▲ 기술의 성능 및 효과를 시험하는 테스트베드인 국가연구시설(N-Facility) ▲산학연과 연계해 현장 기술지원 및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국가연구협의체(N-Team)로 구성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