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서울시장이 쪽방촌 찾으면 뭐하나, 열악한 정주 여건 그대론데···"

필자가 견습기자를 마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출내기일 때 당시 서울시장이었던 고 박원순 씨가 강남·북 격차의 실태를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개선책을 고민해보겠다며 '한 달 살이'를 위해 강북구 삼양동 옥탑방에 들어갔다. 긍정적인 반응이 주를 이룰 거라는 기자의 예상과 달리 "전형적인 보여주기식 정치다, 쇼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당시 기자는 '아무것도 안 하는 것보다 뭐라도 하는 게 낫지 않나' 하는 생각에 고 박 전 시장을 비판하는 사람들을 보며 속으로 혀를 찼다. 이제는 그들이 왜 그런 말을 했는지 이해할 수 있다.

 

그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본 사람들은 서울시장이 왔다갔다 한들 취약계층 주민들의 삶이 드라마틱하게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던 것이다. 시장은 작년에도 왔고, 올해도 오고, 내년에도 또 올 것이다. 왜? 쪽방촌 사람들의 정주 여건이 개선되지 않아 더운 날에는 폭염에, 추울 때에는 한파에 대비한 주민 보호 대책을 세워 시행하라고 지시하는 '척'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헌정 역사상 첫 4선 서울시장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쥔 오세훈 시장을 예로 들어 보자. 오 시장은 지난 2008년 9월에는 영등포 쪽방촌을, 작년 7월에는 중구 남대문 쪽방촌을, 올 6월에는 종로구 돈의동 쪽방촌을, 이달 1일에는 종로구 창신동 쪽방촌을 찾았다. 배경만 달라졌다 뿐이지 쪽방촌에서 하는 말은 매번 비슷하다.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 복지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제대로 된 시장이라면 쪽방촌 첫 방문 당시 "21세기 서울에 사람이 살지 못할 이런 열악한 주거지가 있는 게 말이 되느냐"며 "공공주택 사업을 추진해 쪽방촌 주민들에게 '집다운 집'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지켰어야 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2022년의 서울에는 여전히 인간의 존엄을 무너뜨리는 주거 공간, 쪽방이 3500개가 넘게 존재한다.

 

서울시의 지원이 시원찮은 탓에 취약계층 주민들의 삶은 고통의 연속이다. 민선8기 첫 민생 현장 방문으로 창신동 쪽방촌을 찾은 오 시장이 3대 지원 방안이라고 내놓은 대책은 공공급식을 기존 1일 1식에서 2식으로 늘리고, 에어컨을 150대 설치(금년 5월 기준 쪽방 거주자수 2453명)하는 게 고작이다. 에어컨도 집 주인 허락이 없으면 설치를 못 하는데다가, 전기료도 가구당 5만원 한도라 '그림의 떡'이다. 작년 7월 남대문로5가 양동 쪽방촌 방문 때 현장에서는 재개발을 앞둔 건물주들의 사전 퇴거 조치로 지난 1년 반 동안 250명이 쫓겨났고 현재 230세대밖에 남지 않았는데 임대주택은 180세대만 짓는다고 해 나머지 50명이 갈 곳이 없어졌다는 절규가 나왔다. 이달 1일 오 시장이 발표한 쪽방주민 3대 지원 방안에는 정작 중요한 이에 대한 내용은 없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