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파운드리 '대박'에 미국 반도체 지원법…삼성전자 모처럼 호재 이어져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왼쪽부터) 정원철 상무, 구자흠 부사장, 강상범 상무가 화성캠퍼스 3나노 양산라인에서 3나노 웨이퍼를 보여주고 있다./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모처럼 호재를 맞이했다. 대만 TSMC가 '대박' 실적을 거두고, 미국 정부도 반도체 지원에 속도를 내면서 성장 기대감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대만 TSMC는 2분기 매출액 5341억대만달러(한화 약 23조5000억원)에 영업이익 2621억대만달러(11조5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각각 43.5%, 79.9% 늘었다. 영업이익률도 49.1%로 전년 동기보다 10%나 많았다.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전쟁, 코로나19 엔데믹 등으로 '피크 아웃' 우려가 이어지던 상황, TSMC가 오히려 더 실적을 개선하는데 성공한 것.

 

7나노와 5나노 등 첨단 공정의 매출 비중이 51%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제품별로도 고성능 컴퓨팅(HPC)이 43%, 스마트폰도 38%로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64%로 가장 많았고, 중국도 13%로 여전히 주요 고객으로 남아있었다.

 

하반기 전망도 긍정적이다. TSMC는 3분기 매출도 2분기 매출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영업이익률도 48%로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봤다.

 

미국 정부도 반도체 산업 지원 법안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반도체 지원법이 각계 입장차로 오랫동안 표류하고 있었지만, 민주당이 8월 휴회 이전에는 520억달러(한화 약 69조원) 규모 지원안만큼은 따로 처리하겠다고 나섰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주가도 모처럼 15일 마감을 기준 6만원으로 올랐다. 비메모리 반도체 호황과 텍사스 공장 지원 기대감 등에서다.

 

삼성전자 파운드리는 TSMC보다 선단 공정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TSMC보다 성장률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얘기다. 하반기 3나노 양산이 시작되고 기존 제품 수율도 높이면서 수익율도 극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비메모리 호황이 삼성전자 하반기 실적까지 끌어올리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지난해 기준 비메모리 사업 매출 비중은 전체의 10분의 1도 안되는 수준이다. 하반기 새로운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등 호재가 있긴 하지만 전반적인 소비 감소로 메모리 시장 불황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