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저소득 서울시민 만성질환 유병률 높아··· 맞춤형 식생활 관리 필요

가구소득별 식품안정성 확보 가구 분율./ 서울연구원

소득이 적은 서울시민은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고 식품불안정, 영양섭취 부족 등 건강하지 못한 식생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민의 건강 상태와 생활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식생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5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정책리포트 제354호 '서울시민의 만성질환 실태와 식생활 관리 정책 방향' 보고서에서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됐다.

 

연구진이 2010~2019년 국민건강영향조사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서울시민 중 저소득층 여성의 만성질환 유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가구소득 5분위(상위 20%)인 여성의 고혈압 유병률은 12.8%였다. 반면, 소득 수준이 낮은 1분위(하위 20%) 여성은 고혈압 유병률이 46%로 높았다. 또 소득이 적은 여성 서울시민은 대사증후군(가구소득 하: 36.6%, 상: 11.5%)과 비만(가구소득 하: 38%, 상:14.7%)이 발병할 위험이 컸다.

 

가구소득이 낮은 군은 영양섭취 부족·결핍과 같은 식생활 불균형 특성도 보였다. 가구소득 1분위는 '식품안정성 확보가구 분율'(가구원 모두가 원하는 만큼 충분한 음식을 섭취했는지를 확인하는 지표)이 87.9%에 그쳤고, 5분위는 99%에 달했다.

 

과일·채소 500g/일 이상 섭취자 분율도 5분위는 45.5%로 절반에 가까운 데 비해 1분위는 31.1%밖에 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시민의 건강상태와 생활환경을 고려한 질환별 맞춤형 식생활 관리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가장 취약한(저소득·신체능력 저하·조리 불가능·사회적 고립상태) 만성질환자에게는 조리가 완료된 형태로 도시락을 배달해주고, 스스로 식품 조리가 가능한 저소득 만성질환자에게는 식재료 형태로 식품 패키지를 전달할 것을 연구진은 제안했다.

 

또 연구진은 만성질환자이면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크지 않은 대상자에게는 맞춤형 식품 처방을 제공하고 신석식품(채소·과일), 저염·저당으로 조리된 건강한 밑반찬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도록 바우처를 지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구진은 서울시에서 가장 취약한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질환별 맞춤형 도시락 배달 사업을 추진하려면 인력을 보충하고 제반시설을 보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는 '어르신 맞춤형 식사배달 시범사업(2019)', '서울케어-건강돌봄서비스와 연계한 만성질환자 영양간편식 제공사업(2020~2021)' 등을 통해 만성질환을 가진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질환예방을 위한 맞춤형 도시락 배달사업을 시도한 바 있다.

 

김성아 서울연구원 도시사회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사업 수행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질환별 맞춤형 식사를 제조하기 위한 시설과 설비, 식사 제조·배송·관리 인력 등 제반 여건이 갖춰지지 않아 애로사항이 발생했다"며 "특히 대상자별로 맞춤형 식사를 계획하고, 영양교육과 상담을 함께 수행할 영양사 인력이 매우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맞춤형 도시락 배달 사업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전담 영양사 채용 및 조리·배송 인력 충원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