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방/외교

한국전쟁 정전기념, 北보다 못한 南...시간이 없다

없는 살림에도 한국전쟁 노병 챙기는 북한
부자한국, 한국전쟁 참전용사 처우는 후진국
국격에 맞는 대우...시간 많지 않아

북한은 한국전쟁(6.25) 정전협정이 조인된 7월 27일을 ‘전승절’로 기념하고 있다. 적화통일을 위해 같은 민족에 기습남침으로 전쟁을 일으켰다가 38선 이북의 강원도지역을 잃고 퇴각한 부끄러운 전쟁을 북한은 이런식으로 기억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3년 간, 북한은 한국전쟁 참전자를 중심으로한 ‘노병대회’를 3년 동안 꾸준히 실시해 왔다.

 

노병대회에 참석하는 노병들은 한국전쟁 당시의 군복을 차려입고, 비행기, 철도, 버스 등을 이용해 융숭한 대접을 받으며 행자장에 참가한다. 경제빈국 북한에 비해 경제강국 대한민국의 참전용사 의전이 훨씬 초라하다는 점은 매우 부끄러운 일이다.<편집자 주>

 

북한군 노병과 북한 군인들이 2013년 7월 27일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정전60주년 전승절 행사에 참석해, 한국전쟁 당시 복장으로 행진하고 있다. 사진=조선중앙TV 영상캡쳐

◆北, 없는 살림에도 군복 입은 노병 극진히 대접...

 

조선중앙통신은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원한 전승의 명절에 즈음하여 온 나라 인민의 숭고한 경의와 열렬한 축하 속에 제8차 전국노병대회가 7월 26일 수도 평양에서 진행됐다”고 보도했다. 당초 예상과 달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참석하지 않았지만, 김덕훈·조용원·최룡해·박정천·리병철 당 정치국 상무위원 등이 행사장 앞자리인 주석단에 앉았다.

 

이번 노병대회에서 북한은 핵무기와 반미구호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대한민국에 대한 적개심과 전쟁의지는 확고했다. 노동당 중앙위원회는 전국노병대회 축하문에서 이 땅에서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전체 당원들과 인민들은 난관이 중첩될수록 극악한 환경 속에서 공화국의 주권과 영토를 영예롭게 수호하고 영웅 조선의 기상과 힘을 백방으로 떨친 전쟁 노병 동지들의 모습을 언제나 거울 삼아 혁명 신념을 벼리고 혁명 투지를 가다듬으며 사회주의 오직 한길로 억세게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북한은 노병에 대한 존중을 국내정치에 잘 활용하고 있다. 갈수록 열악해지는 경제상황 속에서도 노병들이 군사중심의 체제다지기에 한몫을 하고 있다는 풀이도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명목 GDP(국민총생산량)는 지난 4월 기준 세계14위, 교역량은 지난해 기준으로 세계8위다. 북한의 명목GDP는 2020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56분의 1 수준인 34조7000억원으로 추정된다. 그렇지만, 한국전쟁 참전용사의 처우와 의전은 ‘북한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3년 9월 6일 육군 50사단과 경북 상주시가 공동으로 주관한 ‘화령장 전투 승전 행사’가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물론 인터넷 커뮤니티에 알려진 것 처럼 사단장과 시장만 천정이 없는 고급승용차를 타고, 참전용사들은 덮개가 벗겨진 군용트럭에 올라 비를 맞았다는 것은 사실과 일부 다른 부분이 있다. 화령장 전투에 직접 참전한 참전용사는 군 찦차에 탑승했고, 차량지원 문제로 화령장 전투에 참가하지 않은 참전용사들만 비옷을 입고 따로 군용트럭에 탑승했다는게 당시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왼쪽부터 2013년 7월 6일 육군 50사단과 상주시가 공동 주관한 행사에 참석한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이 우의를 입고 군용트럭 탄 상태로 시가행진을 하고 있다. 한국전쟁 직후, 정복을 착용한 육군 장교와 한국전쟁에 참전해 명예훈장을 수여한 랠프 퍼켓 쥬니어 퇴역 미 육군대령의 모습. 편집=문형철 기자

◆부자 대한민국, 후진적 보훈...시간이 없다.

 

참전용사의 품격은 어느 전투에 직간접적으로 참석했느냐를 떠나 지켜져야 하는 ‘존엄’의 문제이기 때문에, 오해의 여지를 키워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제2차세계대전을 비롯한 수많은 전승행사에 많은 나라들은 참전용사 전원에 대한 격조와 품위에 대한 고민을 한다. 프로파간다(국가적 선전·선동)이 발달한 러시아, 세계에서 전쟁을 수행하는 미국, 대영제국의 전통을 지키려는 영연방국가와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참전 당시의 제식군복을 흐트러짐 없이 착용한 참전용사들을 볼 수 있다. 가까운 대만(중화민국)도 국공내전과 항일전쟁에 참전한 노병들이 국민혁명군 군복을 차려입고 전승행사에 참가한다.

 

반면, 대한민국은 참전용사들에게 잘 갖춰진 군제식 피복을 제공하고 있지않다. 군이 재현하는 전승행사나 기념영상에서도 피복이나 장비의 고증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국가보훈처는 지난 달 20일 ‘제복의 영웅들’이란 프로젝트명으로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을 위한 단체복 디자인을 공개했지만, 양복에 가까운 단체복이지 제식군복은 아니다. 앞서 지난해에도 국가보훈처는 ‘다시 영웅’프로젝트를 통해 참전용사에게 양복 등을 제공했지만, 이 또한 일부 극소수의 참전용사에 한정됐다.

 

이와 관련해 메트로경제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 응한 참전용사들과 그 가족들은 ‘더 이상 참전용사들은 기다려줄 수 시간이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참전용사의 아들인 A씨는 “백마고지 승전행사에 참석하실 수 있는 참전용사가 많이 돌아가셨다. 행사에 대한 관심과 지원도 줄었다”면서 “참전용사들이 모셔질 국립묘지도 부족해 지고 있다. 미국 수준은 아니더라도 국격에 맞는 보훈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