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반도체 경쟁력은 돈

[기자수첩] 반도체 경쟁력은 돈

 

산업부 김재웅 기자

반도체는 양산까지 길고 힘든 과정을 거친다.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라인을 가동하기 시작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수율을 높이며 마무리 단계에서는 고객사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그렇다고 양산이 기술적으로 대단한 이벤트는 아니다. 장비도 그대로, 운영 방식이나 생산량도 양산 전이나 직후가 크게 다르지 않다. 그저 책임자의 양산 승인, 그리고 완성품이 본격적으로 고객사에 공급된다는 것만 다르다. 양산 중인 공정도 새로운 라인에 적용하려면 비슷한 과정을 거쳐야한다.

 

그러면 양산이 뭐길래 중요하게 다뤄지는 걸까. 정답은 돈이다. 양산은 기술적인 완성이 아니라 팔 곳을 찾아 적정한 수율을 확보했다는 얘기다. 수율을 더 높여 수익성을 제고하는 것은 그 다음 일이다.

 

마이크론의 세계최초 232단 낸드플래시 양산 발표가 기술적인 역전을 뜻하지 않는 이유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으로 마이크론을 이미 한참 앞서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마이크론은 EUV조차 적용하지 못한 만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진짜 무서운 것은 돈이다. 마이크론이 그리 높지 않은 수율에도 양산을 단행한 것은 누군가 비싸게 제품을 사겠다고 나섰거나 어디선가 손해를 만회할만한 돈을 받았다는 의미다. 마이크론이 1a D램과 172단 낸드 양산을 먼저 발표한 게 2020년, 미국이 반도체 굴기를 시작했을 때다.

 

그래서 중국 반도체가 위협적이다. 중국 반도체는 기술적인 한계는 물론이고 미국 무역 제재로 장비조차 없어 수율이 형편 없는 상태로 확인되지만, 중국 시장에서는 이미 현지 생산 메모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7나노 파운드리 양산 의혹까지 받는다. 중국 정부가 돈을 쏟아 부으니 가능한 일이다.

 

삼성전자가 3나노 GAA 공정 양산을 시작했지만 아직 공급처가 어딘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굵직한 대형사 제품을 만드는 건 아닐 가능성이 커보인다. 세계 최초 시도이다 보니 보수적인 팹리스 업계가 덜컥 맡기기는 쉽지 않았을 테다. 상반기 양산 약속을 지키기 위해 삼성전자가 얼마나 뛰어다녔을지 짐작할만하다.

 

미국이었으면 어땠을까. 벌써 대형 팹리스가 수주해 마케팅에 적용하며 '윈윈' 했을 것 같다. 중국이었으면 지원금으로 일단 양산하고 진짜 '초격차'인 2세대 GAA에 투자를 더 할 수 있었겠다. 한국은? 이제 만들기를 기대해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