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한국판 수소 CES 만들 것' 정만기 H2 MEET 조직위원장, "수소기술 경쟁 이끌어 내야"

정만기 H2 MEET 조직위원장이 10일 자동차회관에서 개최된 'H2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발언하고 있다.

"수소 에너지 효율성은 어떻게 되나요?"

 

10일 H2 MEET 조직위원회가 자동차회관에서 개최한 'H2 이노베이션 어워드' 현장은 진지함이 묻어났다. 올해 3회차를 맞이한 H2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수소산업 분야 혁신기업과 기술발굴을 위해 수소산업 대·중·소기업,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종합 기술발표회 및 시상식이다.

 

정만기 조직위원장은 "수소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수소분야는 빠르게 활성화 되고 있다"며 "H2 MEET에도 참여하는 업체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는 호주, 캐나다, 영국의 주요 정부관계자들이 참석하는 등 전시규모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H2 MEET와 H2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해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H2 이노베이션 어워드 1회차에는 기업들의 관심이 낮았지만 올해는 43개 업체가 참가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정 조직위원장은 "H2 이노베이션 어워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업체의 기술 경쟁을 이끌어 내는게 중요하다"며 "아무리 좋은 기술이 등장해도 플랫폼 자체가 인기 없으면 기술은 성장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H2 MEET라는 플랫폼을 키워 기업들이 우수한 기술을 공유하고 경합할 수 있는 한국판 CES를 만들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본선에 진출한 18개 기업이 자사 기술을 8분간 소개하는 방식으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진행됐다. 정기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공학박사, 박진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청정수소PD, 조원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 유상석 충남대학교 교수, 이봉현 산업통상자원R&D 전략기획단 수소전기차 PD가 심가위원으로 참가했다. 심사위원은 기업들의 기술에 대한 실증과 기술 개발 단계, 실용성 등에 대해 날카로운 평가가 이어졌다. 심사는 기업들이 제출한 참가신청서와 기술소개서를 바탕으로 ▲혁신성 ▲기술성 ▲상품성 ▲발전성 등 네 가지 항목에 대한 평가로 진행됐다.

 

10일 자동차회관에서 개최된 'H2 이노베이션 어워드' 참가 기업이 자사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이번 본선에는 수소생산 부문(5개사) ▲라이트브릿지(한국) ▲예스티(한국) ▲파나시아(한국) ▲플라젠(한국) ▲하이젠에너지(한국), 수소저장·운송 부문(7개사) ▲대현에스티(한국) ▲비티이(한국)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한국) ▲에너진 주식회사(한국) ▲에테르씨티(한국) ▲솔루포스 (Soluforce,네덜란드) ▲한국조선해양(한국), 수소활용 부문(6개사) ▲루프 에너지(Loop Energy, 캐나다) ▲빈센(한국) ▲케이워터크래프트(한국) ▲포스코 모빌리티솔루션(한국) ▲한국에머슨(미국) ▲한맥콘트롤즈(한국) 등이 진출했다.

 

본선에서는 심사를 거쳐 10개사가 최종 선정될 예정이며 대상 1개사에는 상금 500만원을, 최우수상 3개사에는 상금 300만원을, 우수상 6개사에게는 부스 비용 100만원 할인 혜택을 각각 제공할 예정이다.

 

정 조직위원장은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산업의 기여는 파괴적 기술혁신 여부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라며 "H2MEET 조직위는 참여기회를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외국기업들에게도 적극 개방함으로써 H2 이노베이션 어워드가 글로벌 기술혁신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 년내 H2 이노베이션 어워드가 수소산업분야 세계의 가장 존경받는 영예로운 상으로 발돋움해갈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