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정책

김소영 부위원장, "리스크 선제 관리 핗요"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금융산업리스크 대응 관련 민간전문가 간담회에서 금융산업 전반의 리스크 요인 및 대응방향에 대한 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눴다./금융위원회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모니터링 초점을 다변화해 새롭게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산업 리스크 대응 관련 전문가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 이혁준 NICE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 최동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박해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석길 JP모건 이코노미스트, 정영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신환종 NH투자증권 FICC 리서치센터장, 강승건 KB증권 리서치센터 팀장이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김 부위원장은 "작은 문제도 장기 축적돼 큰 리스크 요인으로 발전할 수 있어 긴 시각을 갖고 모니터링해야 한다"며 "업권관 상호 연계성이 확대돼 금융 충격이 업권간 전이될 가능성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금융업권관 상호거래는 지난해 9월 3191조원으로 비은행권간 거래는 1906조원, 은행과 비은행간 거래는 1137조원으로 10년 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 금리상승,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며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산업 부문에서도 잠재부실 현재화, 자금조달 여건 악화, 자산가치 하락 등의 리스크가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예상치 못한 위험과 업권간 상호연계성 확대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참석한 민간 전문가들도 은행 외 금융기관의 신용위험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금융평가본부장은 "표면적인 부실채권비율은 역대 최저수준이지만 증권, 캐피탈, 저축은행의 신용위험 확대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박해식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증권사는 채권 운용수익률 하락에 따른 수익성 악화 및 부동산PF 부실화 리스크 등을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