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음/조애리 옮김/민음사
어느 나른한 주말 오후, 필자의 어머니가 심심했는지 동네 한바퀴를 돌고 오자는 제안을 했다. 평소 걷기를 좋아해 두 번 생각 않고 바로 "콜!"을 외쳤다. 공원에 도착하자마자 필자는 '산책'이라는 미끼를 덥썩 문 것을 후회했다.
어머니가 말한 산책은 공원의 드넓은 자연을 만끽하는 것이 아닌 운동장 트랙을 뺑뺑 돌며 다이어트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제야 왜 소파에 찰싹 달라붙어 있던 아버지가 고개를 절레절레 저으며 "절대 같이 안 나가겠다"고 끝까지 버텼는지 알게 됐다.
필자가 느릿느릿 걷는 꼬락서니가 마음에 안들었는지 어머니는 "걸음걸이가 왜 그모양이냐", "허리를 쫙 펴고 걸어라", "그렇게 천천히 돌아다니지 말고 숨이 조금 찰 정도로 빠르게 걸어라. 그래야 살이 빠진다"는 등의 잔소리를 퍼부어 댔다. 반대 방향으로 몸을 돌려 집으로 뛰어가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하게 들었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달빛 속을 걷다'에서 "살아오면서 걷기, 즉 어슬렁거리는 재능이 있는 사람은 기껏해야 한두 사람밖에 못 만났다"고 고백한다. 월든의 저자로 잘 알려진 소로의 걷기 예찬론이 담긴 책 '달빛 속을 걷다'에 따르면, 어슬렁거린다는 '중세 시골 동네를 돌아다니며 성지 순례 중인 척하며 구걸하는 게으름뱅이'에 어원을 둔 재밌는 말이다.
소로는 "어슬렁대는 사람들이야말로 진정한 산책자"라고 말하며 "걷는 장소는 인간의 기술로 만든 아름다운 정원이 아닌 음울한 습지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외부가 황량할수록 정신이 고양된다는 이유에서다. 책에는 소로가 걷다가 만난 늦가을의 황홀한 석양이 생생하게 묘사돼 있다.
"추운 대낮이 지나가고 해가 지기 직전 지평선이 가장 맑아지는 시간이었다. 초원 위에 그림자가 동쪽으로 길게 뻗어 우리 자신이 마치 햇빛 속의 먼지 한 점처럼 느껴졌다. 그 순간 가장 부드럽고 밝은 아침 햇살 같은 빛이 맞은편 지평선의 마른 풀잎과 나무둥치와 언덕의 작은 참나무 잎 위로 쏟아졌다. 그 초원은 천국 같았다." 164쪽. 8800원.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