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쓰기의 쓸모 外

◆쓰기의 쓸모

 

양지영 지음/더디퍼런스

 

인스타그램 댓글, 방명록, 제품 리뷰 같은 간단한 토막글조차 쓰기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있다. '글을 잘 쓴다'는 것은 각자의 상황과 목표에 맞게 적재적소에 글쓰기를 활용할 줄 안다는 의미다. 저자는 "모든 쓰기는 다 쓸모가 있고, 작은 쓰기들이 모여 인생의 포트폴리오가 완성된다"고 말한다. '필통 편지'는 워킹맘으로 살아가면서 느낀 불안감을 없애줬고, 아이와 끈끈한 소통의 수단이 됐다. '마흔 일기'는 사십춘기를 극복하게 도와줬고, '24시간 관찰일지'는 불쑥 화가 치밀 때마다 마음을 다잡을 수 있게 해줬다. 현재와 다른 삶을 원한다면, 인생의 방향을 찾고 싶다면, 삶이 풍성해지고 싶다면 일단 쓰라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212쪽. 1만4000원.

 

◆블루칼라 프리워커

 

이이람 외 5명 지음/스리체어스

 

과거 직장은 안정된 삶의 증거였다. 어른들의 말을 듣고 자란 젊은이들은 사무실로 향했다. 하지만 성공의 기준은 달라졌고 화이트칼라에 대한 믿음은 깨졌다. 열심히 일해도 인정받지 못하고, 죽도록 벌어도 집 한 채 사기 어렵다. 자유를 찾아 나선 청년들은 육체노동을 택했다. 책에는 목수, 환경미화원, 건설 현장 노동자, 청년 농부 등 사무실 밖에서 나만의 일을 찾은 청년 6인의 이야기가 담겼다. 더울 때 더운 곳에서, 추울 때 추운 데서 일하더라도 누구보다 자유로운 이들은 '모두가 마음 한켠에 사직서를 품고 사는 시대'에 물음을 던진다. 당신들은 왜 답답한 닭장 속에 갇혀 고통받으며 살고 있는 거냐고. 148쪽. 1만2000원.

 

◆마지막 일터, 쿠팡을 해지합니다

 

박미숙 외 6명 지음/민중의소리

 

2020년 10월 쿠팡에서 일용직 노동자로 근무하던 28세 장덕준 씨가 세상을 떠났다. 사망 원인은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심근경색. 그는 주당 평균 58시간, 죽기 직전엔 62시간 일했다. 그의 죽음은 로켓배송, 새벽배송으로 인기를 끈 쿠팡의 실상을 전 국민에게 알리는 계기가 됐다. 미국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해 55조원의 기업 가치를 평가받은 쿠팡의 이면엔 열악한 근무 환경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있었다. 쿠팡의 노동자들은 여전히 산재와 과로사의 위험에 노출돼 있다. 책은 쿠팡의 피해 실태를 중심으로 서비스 산업 전반에 고착화된 노동 착취와 고강도 야간 노동 문제를 고발한다. 240쪽. 1만5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