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상반기 날개단 K-바이오..연매출 2조원 넘어 3조원도 '눈앞'

삼성바이오로직스 제3공장 전경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상반기 실적이 급성장하며 하반기 기대감을 높였다. 일부 기업들은 상반기 실적이 사상 처음 1조원을 넘기며 연간 실적도 무난히 첫 2조원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 매출이 2조원을 이미 넘긴 곳도 있어 업계 처음으로 연간 매출 3조원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 매출 1조원을 넘긴 기업은 총 3곳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상반기 1조162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 한해 매출인 1조5680억원 74%를 반기 만에 달성했다. 전년 동기 매출(6729억원)과 비교하면 무려 1.7배 늘어났다. 반기 영업이익은 3460억원으로 전년 대비 43% 급증했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올해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규모가 지난해 수추 총액을 뛰어 넘으며 하반기 실적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2일 영국 아스트레제네카와 4570억원의 초대형 CMO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원화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다국적제약사 7곳과 총 8건의 CMO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누적 수주 금액은 1조2772억원으로 지난 한해 전체 수주금액(1조1602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상반기 매출이 1조원을 넘어서며, 올 한해 2조원 달성도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증권사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 한해 매출액이 2조3085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21년 연간 매출액보다 47% 많은 규모다.

 

셀트리온 역시 지난 상반기 연결 기준 1조1466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지난 2021년 한해 매출액(1조9116억원)의 60%를 상반기 달성한 셈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412억원을 기록했다. 실적 개선을 이끈 램시마는 지난 6월 기준 31%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 30%를 돌파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유럽에서는 램시마SC 출시 이후 램시마, 램시마SC 두 제품의 점유율이 동반 상승하고 있다. 지난 2분기 램시마 유럽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0% 가까이 증가했고, 같은 기간 램시마SC 매출은 160% 늘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셀트리온의 올 한해 매출액도 2조원 돌파가 가능할 전망이다. 유럽 시장에서 올 하반기부터 트룩시마, 허쥬마 등 항암제의 직접판매가 시작됐고, 비소세포폐암 치료용 항암 항체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가 세번째로 하반기 유럽에 출시를 앞뒀다. 국내 증권사들은 올해 셀트리온이 2조2999억원의 매출액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업계 처음으로 연매출 2조원을 달성했던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올해 반기만에 2조원 매출을 달성하며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지난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액 2조183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11.43% 늘어난 수치다. 영업이익은 9677억원을 기록했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지난 2021년 한해 3조원에 육박하는 2조93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바 있어 올해 3조원 매출 달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증권사들이 추정한 에스디바이오센서의 올해 실적 전망치는 2조9365억원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