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르포] '이디야 드림팩토리' 가보니…커피에 대한 이유있는 자신감

경기도 평택시에 연면적 1만3064m²(약 4천평),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이디야 드림팩토리'/이디야커피

국내 1세대 커피전문점 이디야커피가 최첨단 설비 시설을 앞세워 글로벌 접수에 나선다.

 

이디야커피는 지난 23일 자체 로스팅 공장 '드림팩토리'를 언론에 공개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문창기 이디야커피 총괄 대표이사 회장은 "드림팩토리는 전 세계 어디를 가도 빠지지 않는 시스템을 갖췄다"며 "세계 어디를 가든 이디야커피를 맛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입을 뗐다. 이어 "올해 괌에 이디야 매장을 오픈할 것"이라며 "많은 제품군을 갖춰 세계 진출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고 자심감을 내비쳤다.

 

이디야커피는 경기도 평택시에 연면적 1만3064m²(약 4천평),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이디야 드림팩토리'를 2020년부터 가동하고 있다.

 

커피 한 잔에 쓰이는 원두가 되기까지 생두는 4단계에 걸친 완벽한 이물 선별 과정, 로스팅, 블렌딩을 거친다.

 

드림팩토리 내부 원두 생산 제조 시설을 소개하고 있다. /이디야커피

이날 제조 시설 내부도 함께 공개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언론에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드림팩토리에서 근무하는 직원은 연구원까지 포함해 총 70명 내외. 생두의 투입부터 선별 로스팅 포장까지 모든 과정을 전자동화 공정으로 진행되며, 근무자는 중앙 조정실에서 시설을 조작한다. 관계자는 "전자동화 공정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과 품질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공정의 시작은 생두 투입이다. 포대 당 60~75kg의 생두포대에서 투입된 생두는 컨베이어를 통해 선별 시설로 이동된다. 이후 이물선별(먼지를 집진시설을 통해 배출), 금속선별(마그네틱 드럼을 회전시켜 생두 사이에 섞인 금속물질을 걸러냄), 비중선별(풍압과 역회전 벨트를 통해 돌과 같은 무거운 이물질을 제거), 색채선별 과정을 거친다. 색채선별 과정은 전처리 마지막 공정으로 색상, 명암, 모양, 크기 등을 카메라를 통해 영상검사를 실시, 규격에 맞지 않은 결점두를 걸러내는 작업이다.

 

이후 로스팅 과정이 진행된다. 드림팩토리는 로스팅 기기 제조 업체 뷸러와 프로밧사의 설비를 도입해 열풍식과 반열풍식 2종의 설비로 로스팅을 하고 있다.

 

먼저, 불러사의 '인피니티 1000' 은 열풍식 로스터기다. 강한 열풍을 이용해 순간적인 고열로 생두를 볶는 설비이며 시간과 온도를 자동 컨트롤해 대량생산 시에도 균일한 품질의 맛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밧사의 '넵튠 500'은 반열풍식 로스터로 전도열과 대류열을 동시에 사용해 생두를 볶는다. 기온과 습도 등 로스팅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을 최소화해 안정적으로 로스팅 할 수 있다.

 

로스팅 시 발생되는 연기와 커피 고유의 향 등은 에프터 버너와 팔라듐 코팅 촉매를 이용해 제거, 외부 노출을 최소화 하고 있다.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는 사일로로 이송되며, 사일로 이송 후 저울과 믹서를 통해 최적 비율로 블렌딩돼 충전 공정으로 이송된다.

 

제품의 포장은 충전부터 배송용 박스 포장까지 모든 과정이 전자동으로 진행된다. 전국 가맹점 공급 원두를 생산하는 필름포장기부터 B2B 및 B2C용 소형 지퍼백 포장기 드립백, 캡슐커피,콜드브루, 컵커피등 원료용으로 사용되는 대형 충전 포장기까지 각기 다른 규격과 용도의 제품을 동시에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충전 포장설비를 갖추고 있다.

 

드림팩토리 내부 설비 시설을 소개하고 있다. /이디야커피

이디야커피는 2020년 드림팩토리 준공에 맞춰 기존 매장의 원두를 업그레이드해 커피의 풍미를 한층 개선했다. 현재 자체 커피믹스 브랜드인 비니스트를 비롯해 라떼 파우더 제품 등 총 10종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커피개발팀을 비롯한 이디야커피의 R&D 전문가들은 그동안 아프리카, 남미, 중미 등 세계 각국의 다양한 산지를 직접 찾아다니며 생두를 발굴했으며, 전국 가맹점에서 소비자들에게 검증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4년의 연구개발 과정과 약 1000회 이상의 프로파일링 테스트를 거쳐 차별화된 블렌딩 비율과 로스팅 기술을 완성했다.

 

한편, 이디야커피는 2001년 중앙대 1호점을 시작으로 2013년 100호점, 2016년 2000호점, 지난해 3500호점을 돌파하며 국내 커피 프랜차이즈 중 가장 많은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