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K-산업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방안 마련 고심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국내 산업계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책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업계는 미국서 판매하는 전기차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에서 제외되면서 당장 발등에 불어 떨어졌다. 또 배터리 업체들은 내년 1월부터 일정 비율 이상 미국 등에서 생산된 배터리와 핵심 광물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미국의 IRA 발효로 대미 수출에 적신호가 켜지자 대책 마련을 위해 급거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정 회장은 지난 23일 대관 업무를 총괄하는 공영운 현대차 사장과 함께 뉴욕과 워싱턴 DC, 조지아주 등을 돌아보는 약 2주간 출장에 나선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의 이번 출장은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현대차·기아에 어느때보다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는 올해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점유율 2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세제 혜택이 끊기면 판매량 급감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올해 1~7월까지 현대차·기아가 미국서 3만 4828대를 판매하며 2위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판매량 감소시 3위 포드(2만3042대)에게 추격 당할 수 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이 자국 내 생산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내용의 IRA를 발효하면서 현지에서 판매 중인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까지 보조금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이에 따라 정 회장은 이번 출장길에 미국 정·관계 인사들과 만나 IRA의 불합리한 부분의 개선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현대차가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의 착공 시점을 내년 상반기에서 올해 10월로 앞당겨 2024년 하반기부터 가동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과 관련, 현지 제반 상황을 점검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아이오닉 5

다만 일각에서 미국내 기존 생산 공장을 전동화 생산라인으로 변경힐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게 업계의 중론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생산라인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비용이나 시간적인 부분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며 "IRA에 대한 개선 사항이나 현지 전기차 공장 착공 시점 등을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라지만 미국 내에 전기차 생산 거점이 없는 현대차·기아를 비롯 도요타, 폭스바겐 등 글로벌 완성차들의 타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반면 국내 배터리 업계는 내년 1월 IRA 발효를 앞두고 공급망 다변화를 통한 대응책 마련과 세부 내용에 대해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업계는 중국산 광물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호주, 칠레, 인도네시아 등 비 중국 국가들과 광물 공급계약에 나서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또 북미 조립 요건 외에 배터리의 광물·부품 비율 요건에 대한 세부 내용을 파악한 뒤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국내 기업들은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공급망 다변화에 집중했다"며 "이번 미국의 법안의 세부 내용을 파악한 뒤 향후 추이를 지켜보고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중국의 전기차 육성 정책이 궤도에 오르는 것을 견제하고 미국 전기차 시장 성장을 급하게 성장시키기 위해 우방국을 프렌드쇼어링 체제로 끌어들이려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라며 "미국기업이 생산하는 전기차가 국내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정부도 강력하게 재제하긴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