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정의선 뚝심' 현대차, 모터스포츠 분야 가파른 상승세…WRC서 잇따라 우승

현대차 월드랠리팀 드라이버 티에리 누빌(오른쪽)과 코드라이버 마틴 뷔데게가 우승하고 기뻐하는 모습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뚝심' 경영이 주목받고 있다.

 

정통 완성차 업체로서의 정통성과 기술력을 검증받을 수 있는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해를 거듭할 수록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달 WRC 벨기에 랠리에 이어 WRC 그리스 랠리에서 다시 한번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현대차는 지난 8일부터 11일(현지 시각)까지 그리스 아크로폴리스에서 열린 '2022 월드랠리챔피언십(WRC)' 시즌 10번째 대회에서 현대 월드랠리팀 참가 선수 전원이 1~3위를 차지하는 트리플 포디움을 달성했다고 12일 밝혔다.

 

그리스 아크로폴리스 랠리는 지난해 8년 만에 WRC에 복귀한 대회다. 파르테논 신전 등이 위치한 곳에서 경기가 열려 '신들의 랠리'로 불리기도 한다.

 

그리스 랠리의 우승은 티에리 누빌 선수가 차지했다. 'i20 N Rally1' 경주차로 출전한 티에리 누빌은 경기 중반부터 상위권을 유지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경기 중 단 한 차례의 역전도 허용하지 않고 팀 동료인 오트 타낙을 15초 차이로 앞서며 팀에 네 번째 우승컵을 안겼다.

 

오트 타낙은 올 시즌 이탈리아, 핀란드, 벨기에 랠리에서 우승한 기세를 몰아 그리스 랠리에서도 2위로 포디움에 올랐다. 드라이버 종합 순위 2위를 지켰다. 현대차 월드랠리팀 소속 다니 소르드 역시 안정적인 주행을 바탕으로 3위를 차지했다.

 

이번 우승으로 현대차 월드랠리팀은 총 48점을 얻어 제조사 부문 종합 순위에서 1위와의 포인트 격차를 크게 줄였다.

 

현대차가 고성능 브랜드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정의선 회장의 '정공법'이 자리하고 있다. 정 회장은 지난 2012년 프랑스 파리 모터쇼에서 WRC 복귀를 공언하고 고성능차 사업과 모터스포츠 사업의 국내외 상품기획과 영업·마케팅을 한 곳으로 모아 전담 조직 '고성능사업부'를 신설했고 국내외 인재를 영입해 왔다.

 

대표적인 인물이 2014년 BMW M 사업부문 연구소장 출신 알버트 비어만 사장의 전격 영입이다. 남양연구소에 별도의 고성능차량 개발팀을 신설하고 수장으로 앉혔다. 2018년 BMW M 북남미 사업총괄 임원 출신의 토마스 쉬미에라를 고성능사업부 부사장 영입한 것도 통큰 결단으로 꼽힌다.

 

'2022 월드랠리챔피언십' 그리스 랠리에서 트리플 포디움을 축하하는 현대차 월드랠리팀 선수들과 전체 팀원들의 모습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 월드랠리팀은 이탈리아, 핀란드, 벨기에, 그리스 랠리에서 우승을 이어감과 동시에 그리스 트리플 포디움을 달성하는 값진 결과를 얻었다"며 "남은 경기도 차질 없이 준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WRC는 국제자동차연맹 FIA가 주관하는 세계 최정상급 모터스포츠 대회다. 포장도로부터 비포장도로, 눈길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펼쳐지는 연간 경기결과를 토대로 제조사·드라이버 부문 챔피언이 결정된다. 올해부터는 내연기관 기반이 아닌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기반의 신규 기술 규정이 적용됨에 따라 현대차는 i20 N의 1.6리터 4기통 엔진에 100kW급 전동모터를 탑재한 i20 N Rally1 경주차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달 29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는 뉴질랜드에서 2022 WRC 11번째 경기가 열릴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