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아이오닉6·시에라·XM3 HEV' 車업계 하반기 신차 풍년…반도체 수급난 등 해결할 숙제 여전

현대차 아이오닉 6.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부품 수급 차질 등 악재 속에서도 완성차 업계가 올해 하반기 다양한 신차 출시를 예고하면서 내수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특히 국내 완성차는 물론 수입차 업체들이 내연기관 모델부터 전기차까지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어 치열한 경쟁에 예상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올 하반기 출시되는 신차는 10여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국내 완성차 맏형인 현대차와 기아는 순수 전기차로 승부수를 띄운다. 현대차는 첫 세단형 순수 전기차 아이오닉 6를, 기아는 고성능 전기차 EV6 GT를 내놓는다.

 

아이오닉6는 오는 10월 출시를 앞두고 지난달 22일 사전계약에 돌입했다. 첫날 3만 7446대로 기존 국내 완성차 모델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배터리 용량이 큰 롱레인지 모델은 전 차종이 보조금 100%를 받을 수 있어 치열한 출고 경쟁이 예고되어 있다.

 

또 현대차는 올 4분기 중 그랜저 7세대 모델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여전히 국내 승용차 판매량 최상위권에 자리하고 있는 6세대 그랜저(IG 모델)가 6년 만에 완전변경(풀체인지)된다는 점에서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7세대 완전변경 모델은 '각 그랜저'로 불리는 1세대 모델 디자인을 계승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는 다음 달 EV6 GT를 출시한다. EV6 GT는 EV6의 고성능 버전으로 최고출력 584마력, 최대토크 740Nm의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걸리는 시간(제로백)은 3.5초로 역대 국내 출시 자동차 가운데 제로백이 가장 빠르다.

 

신차 부재로 부진을 겪었던 르노코리아자동차와 한국지엠도 신차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기아 EV6 전측면

르노코리아는 XM3(수출명 르노 아르카나) E-TECH 하이브리드 모델을 오는 10월 출시할 예정이다. 이 차는 국내 출시에 앞서 유럽 등 글로벌에서 흥행을 일으키며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르노코리아에 따르면 XM3 E-TECH 하이브리드 모델은 출시 초기부터 유럽 전문가 및 실구매자들로부터 최고의 하이브리드 차량이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지난해 6월 유럽시장에 처음 선보인 이래 올해 7월까지 유럽 소비자들에게 5만4123대가 출고됐다. 지난달까지 부산 신항을 통한 수출 선적 기준으로는 7만214대를 기록했다.

 

한국지엠은 올 하반기 GM의 프리미엄·픽업 SUV 브랜드 GMC의 출사이즈 픽업트럭 시에라 드날리를 국내에 출시할 방침이다. 시에라는 국내 처음 선보이는 GMC 브랜드 차종으로 쉐보레 타호와 동일한 플랫폼을 공유한다. 북미 인증기준 420마력의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6.2L 대용량 자연흡기 V8 가솔린 엔진과 10단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다. 국내 프리미엄 픽업 시장은 아직 독보적인 브랜드가 없는 만큼 시에라의 등장만으로도 소비자들의 관심을 사로잡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지엠은 GMC를 발판으로 내년에는 국내에서 생산할 신차 2종을 차례로 공개할 예정이다.

 

쌍용차는 지난 7월 출시한 SUV 토레스 생산에 집중한다. 토레스는 출시 2개월 만에 계약 대수가 6만대를 돌파하는 등 흥행몰이에 성공했다. 이는 지난해 쌍용차 내수 전체 판매량(5만6363대)를 뛰어넘는 수치다.

 

수입차 업체는 올 하반기 전기차 라인업 확대에 집중한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더 뉴 EQE를 비롯해 EQS의 4륜구동 버전, EQS의 고성능 버전인 'AMG EQS'를 출시할 계획이다. 더 뉴 EQE는 벤츠에서 판매량이 가장 많은 E클래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모델로, 90.6kWh의 배터리가 탑재됐고 1회 충전시 유럽 기준 최대 654km까지 주행이 가능하다. 최고출력 288마력, 최대토크 54.0kg.m의 성능에 제로백도 5.6초다.

 

폭스바겐코리아는 다음 달 'ID. 4'를 출시한다. ID.4는 77kWh 고전압배터리를 장착, 1회 충전시 최대 405km를 주행한다.

 

GM 브랜드 데이에서 첫 공개된 GMC 시에라 드날리.

BMW코리아는 하반기 7시리즈 기반의 'i7'을 내놓는다. i7 x드라이브60은 2개의 전기모터로 최고출력 544마력을 갖췄다. 101.7kWh 고전압 배터리를 장착,1회 충전으로 최대 625km를 주행할 수 있다. 뒷좌석에는 31.3인치 BMW 시어터 스크린이 탑재돼 있다.

 

아우디코리아가 올 하반기 선보일 Q4 e-트론은 55kWh와 82kWh 등 2가지의 배터리와 엔트리급 버전, 미드 레인지 버전, 최상위 모델 등 3가지 구동 버전으로 구성돼 있다. 최상위 버전인 'Q4 50 e-트론 콰트로'는 최고출력 299마력의 성능을 갖췄으며, 한 번의 충전으로 최대 520km 주행이 가능하다.

 

다만 올 하반기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흥행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물량 확보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과 부품 부족의 영향으로 생산량을 끌어올리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아직도 현대차·기아, 쌍용차 등의 인기 모델의 경우 계약 후 인도까지 약 10개월 가량 소요된다. 여기에 자동차용 강판, 플라스틱, 유가 상승 등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신차 가격도 흥행몰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안정세를 찾는 분위기지만 여전히 수요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며 "올 하반기 신차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물량 확보가 어느때보다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