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방/외교

[어수선하軍]長期(장기)복무인가? 臟器(장기)복무인가?

장기까지 내어주고 배가 없는 군복무 누가 할까
시민에 대한 헌신이라는 명예는 누가 지켜주나

문형철 기자 캐리커쳐. 예비역 육군 소령으로 비상근복무 예비군과 군사문화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초급장교들 사이에서는 10년 이상 군복무를 보장하는 ‘장기복무(長期服務)’제도를 ‘장기복무(臟器腹無)’라고 말이 유행 한다고 한다. ‘군에 장기간 복무하게 되면 창자와 쓸개 등을 내줘서 배가 남아나지 않는다’는 의미의 한자어인데 부정하기는 힘들다.

 

최근 전방사단의 초급장교들이 장기복무를 기피하는 이유를 설명한 글(본지 4일자 ‘헤어질 결심, 장기복무자 희망 뚝...군대여 안녕’ 기사 참고)이 유행하듯 퍼지고 있다. 구독자가 10만명 이상인 유튜브 채널 ‘캡틴 김상호(육군 대위 전역)’에서는 이와 관련된 제보가 줄을 잇고 있다. 불과 10여년 전까지는 안정적인 직장으로 군을 선택하는 청년장교들이 많았지만, 피로에 쪄든 선배장교들의 모습을 본 후배장교들은 선배들과 다른 선택을 한 것 같다.

 

기자가 만난 초급장교을은 한결같이 “1990년대 중반까지 아버지 세대가 누렸던 장교출신의 취업우대 분위기는 없어졌다. 그래도 군대보다 사회가 나을 것이라는 생각이든다”면서 “사람 귀한 줄 모르는 군대에서 희망을 찾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힘든 복무여건 속에서도 ‘신념’과 ‘명예’라는 가치를 지키기 위해 장기복무의 길을 선택하는 초급장교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어려운 선택을 한 만큼 군과 사회는 이들을 지켜줘야한다. 하지만 현실은 ‘방치’라는 단어로 정리되는 듯 하다. 국군수도병원에는 부대 출근 중에 쓰러져 3년 넘게 병마와 싸우는 장교가 있다. 군 당국은 관심이 없다. 거동도 의사소통도 힘든 한 모 소령은 24시간 그의 곁을 지켜주는 70넘은 노모에게 전적으로 생사를 의지하고 있다. 영관까지 진급을 한 선배 장교의 처우를 보고 뒤를 따를 후배 장교가 얼마나 있을까.

 

한 소령의 휠체어는 군용이 아니다. 지난 6일(본지 6일자 ‘전우돕기 호소에 기습적으로 답한 기업의 선행’ 기사 참고) 휠체어 전문기업으로 선행을 베풀어 온 휠라인사가 한 소령의 전우가 쓴 편지를 받고 무상으로 지원한 것이다.그는 의사소통도 한글 글자판에 레이저 포인트를 찍어서 힘들게 한다고 한다. 소령 급여를 받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노모가 3년 넘게 한 소령 곁을 지켜왔다고 한다. 그 노모는 수도병원에 입원한 장병들의 식사를 나르는 일을 도우며, 남겨진 밥으로 식사를 하는 일이 많다고 한다.

 

그런데 군 당국은 이런 일이 왜 벌어지는지 관심이 없다. 휠체어를 전달한 업체를 보며 ‘아 훈훈하구나’라는 정도의 반응 뿐이다. 2018년 3월 폐암으로 사망한 유호철 대위(2008년 임관)에게도 군 당국은 차가운 반응이었다. 유 대위는 1급발암 물질인 석면이 들어간 군시설물에서 통신선로를 점검하다 암이 발병했다. 술·담배도 하지 않았고 병과 관련된 가족력도 없었다. 기자와 동료기자들은 이 문제를 보도했지만, 당시 국방부 대변인실은 해당보도가 사실과 달라 ‘국방일보’ 팩트체크를 통해 반박하겠다는 통보를 보내 왔다. 육군사학교 생도생활관에는 여전히 석면이 남아있다.

 

유 대위의 사망이 업무와 관련이 있다고 실질적으로 인정을 받게 된 것은 그가 사망하고 한참이 지난 때였다. 초급장교들이 군당국을 신뢰하지 않을 이유로 충분하지 않겠는가. 대통령실을 옮기고 영빈관을 새로 짓고하는 예산을 ‘시민을 위해 복무하는 자’에게 쏟는다면 ‘대한민국 수호’라는 신념과 ‘시민에게 헌신하는 복무’라는 명예를 조금이라도 지켜줄 것이라 생각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