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문재인, 南北 여러 합의 두고 "정부가 바뀌어도 마땅히 존중하고 이행해야 할 약속"

지난 1일 오전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권양숙 여사가 이날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개관한 노무현 대통령 기념관을 둘러보고 있다. / 뉴시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첫 현안 메시지를 내고 "7·4 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6·15선언, 10·4선언, 판문점선언, 평양공동선언 등은 모두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역지사지하며 허심탄회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만들어낸 역사적 합의"알며 "정부가 바뀌어도 마땅히 존중하고 이행해야 할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8일 9·19 군사합의 4주년 기념 토론회에 담긴 문 전 대통령의 서면 축사를 공개했다. 9·19 군사합의 4주년 기념 토론회는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문 전 대통령은 축사에서 "4년 전 오늘 나와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역사적인 평양공동선언에 서명하고 8000만 겨레 앞에 엄숙히 약속했다"면서 "반목과 대립, 적대의 역사를 끝내겠다는 의지를 담아 '전쟁 없는 한반도의 시작'을 만방에 알렸고 남북군사합의서를 부속합의서로 채택해 하늘과 땅, 바다 어디에서든 군사적 위험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실천적 조치들을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한반도를 '핵무기와 핵 위협이 없는 평화의 터전'으로 만들겠다는 뜻을 대외적으로 천명한 것은 매우 중대한 의미를 갖는다"면서 "남과 북이 처음으로 비핵화 방안에 합의하며 비핵화로 가는 실질적 로드맵을 제시했다"고도 했다.

 

문 전 대통령은 "남과 북이 상호호혜와 공리공영에 입각해 다방면에서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고, 경제 공동체, 생명 공동체로 나아가겠다는 지향을 담았다"며 "평양공동선언은 과거부터 이뤄낸 남북 합의들의 결집체이면서 남북관계를 보다 높은 단계로 진전시키고 평화와 번영의 새로운 한반도 시대로 나아가는 역사적 이정표가 됐다"고 자평했다.

 

이어 "아쉽게도 이듬해 2월에 열린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교착됐고 남북과 북미 간 대화에서 더 이상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면서 "한반도에 평화를 제도화하는 것, 지속가능한 평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과제인지 절감한 시간이었다"고 덧붙였다.

 

문 전 대통령은 "대화가 없으면 평화도 없다. 모든 대화의 출발점은 신뢰다. 신뢰는 남북 간에 합의한 약속을 지키는 데서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북한 역시 거듭된 합의를 저버려선 안된다. 합의 준수를 위해 남북이 함께 노력해 나갈 때 신뢰가 쌓일 것이며 한 걸음 더 나아간 대화의 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표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