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문제를 문제로 만드는 사람들 外

◆문제를 문제로 만드는 사람들

 

희정 지음/정택용 사진/오월의봄

 

아이가 세상 밖에 나오기 직전까지 삼성반도체 기흥사업장 클린룸에서 일했던 이혜주씨는 첫 수유를 하자마자 아들에게 문제가 있단 사실을 알게 됐다. 아이는 모유를 삼키지 못하고 다 게워냈다. 삼성반도체에서 20년간 일한 김수정씨는 임신 4개월 차에 아이의 건강에 문제가 생겼단 사실을 알게 됐다. 산부인과에서 초음파 검사를 하던 날 의사는 아이의 신장 하나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미선씨는 삼성반도체 온양사업장 1기 사원이다. 1991년에 입사해 1998년 퇴사했다. 직장을 관둘 당시 그는 임신 중이었다. 세상에 나온 지 3일째 되는 날부터 아이는 아팠다. 선천성 거대결장으로 아이의 대장은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반도체 산업의 직업병 피해가 노동자들의 자녀에게서도 나타난 것. 책은 "나는 왜 아프게 태어났어?"라고 묻는 아이들의 질문에 답한다. 376쪽. 1만8500원.

 

◆착한 아이 버리기

 

송주현 지음/다다서재

 

"아까 친구들과 비석치기 할 때 혹시 금 밟았니?" "네, 근데 두 번밖에 안 그랬어요" "이기고 싶어 그랬구나" "네, 이길 거면 하고 질 거면 할 필요 없다고 엄마가 그랬어요" 현직 초등학교 교사가 30년간 수많은 아이들과 함께하며 목격한 '정체성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책에 담겼다. 아이들은 처음 경험하는 사회생활에 당황하고 좌절하고 고민한다. 저자는 어른의 말을 잘 듣는 착한 아이, 보호자의 뜻대로 움직이는 로봇 같은 아이가 아닌 자기 욕망을 솔직히 드러내고 스스로 생각하는 아이가 되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260쪽. 1만5000원.

 

◆트로트 인문학

 

박성건, 이호건 지음/미디어샘

 

바야흐로 트로트 전성시대다. 가수 임영웅의 노래 '다시 만날 수 있을까'는 발표한 지 4개월 만에 유튜브 영상 3100만뷰를 돌파했고, 김호중·영탁과 같은 트로트 가수들도 아이돌처럼 음악 차트를 장악하고 있다. 30년 전만 해도 '뽕짝'으로 불리며 일본의 엔카를 베낀 것에 불과하다고 손가락질받던 트로트의 위상이 올라간 배경에는 어떤 역사가 있을까. 대중음악평론가 박성건과 인문학자 이호건은 100년 한국 가요 역사에서, 트로트라는 장르에서 한국인의 정서와 그 이면을 엿본다. 사랑, 이별, 청춘, 불륜, 웃음 등의 키워드로 트로트의 역사를 되짚고 인문학적 성찰을 시도하는 책. 280쪽. 1만8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