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빅스텝'에 은행으로 돈 몰린다…예금금리 5% 눈앞

[서울=뉴시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3개월 만에 재차 단행하면서 은행으로 자금이 몰리는 '역머니무브' 흐름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는 머지않아 5%대를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시중은행의 수신금리 인상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전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기존 연 2.50%에서 3.0%로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에 3%대로 올라섰다. 이에 NH농협은행은 14일부터 예·적금 금리를 올리기로 했다. 거치식 예금 금리는 0.5%포인트, 적립식 예금 금리는 0.50~0.70%포인트 오르게 된다.

 

우리은행은 19개의 정기예금과 27개의 적금 금리를 이날부터 최대 1.00%포인트 인상한다. 예금상품은 비대면 전용 '우리 첫거래 우대 정기예금'을 최고 연 3.80%에서 최고 연 4.80%로 1.00%포인트 인상한다. 그 외 다른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는 0.30~0.50%포인트 올린다. 적금은 '우리 페이 적금', '우리 Mgic적금 by 롯데카드'를 1.00%포인트 인상한다. 그 외 대부분의 적금상품 금리를 0.30~0.80%포인트 상향 조정한다.

 

다른 은행들도 수신금리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폭과 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다음 주 중 수신상품 금리 인상을 단행할 예정"이라며 "매월 1회 이상 시장금리 변동을 점검해 기본금리에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 정기예금 금리는 4%대를 넘어서 5%대를 바라보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시중은행 정기예금(12개월 만기) 중 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은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으로 최고금리가 연 4.70%다. 이어 케이뱅크 '코드K 정기예금'이 연 4.60%를 제공한다.

 

주요 시중은행 중에서는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이 최고금리 연 4.60%로 가장 높다. 이어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연 4.50%, KB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 연 4.18%,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 연 4.18% 등이다.

 

기준금리 인상과 은행권 예대금리차 공시 영향에 은행들이 수신금리를 경쟁적으로 올리면서 예금금리가 곧 5%선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은행권으로 자금이 몰리는 '역머니무브'는 더욱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리가 계속 오르는 데다 아직 대기수요가 충분하다고 본다"면서 "예·적금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주식과 가상화폐 시장의 침체로 마땅한 투자처가 없는 상황에서 예금금리가 오르면서 자금이 은행으로로 향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며 "한은 '빅스텝'이 수신금리에 반영되고 연말까지 금리가 계속 오르면서 자금이 은행으로 몰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정기 예·적금 잔액은 지난달 말 기준 799조8141억원으로 800조원에 육박한다.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9월 한 달만에 30조원 이상 늘었다. 정기예금 잔액은 760조5044억원으로 전월보다 30조6838억원이 증가했으며 정기적금은 39조3097억원으로 5869억원 늘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이 전 거래일(1201.0원)보다 3.2원 오른 1204.2원에 거래를 시작한 7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원화를 확인하고 있다. 관련 전문가들은 원화가치 하락이 국내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것을 우려하고 있다. 정부는 글로벌 달러 강세가 원화 가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