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연극/뮤지컬

인종차별 극복 실험극 '칭창총 소나타' 국내 무대에 서다

'칭창총 소나타' 공연사진/2022 SPAF

달리는 베를린 지하철의 두 청년. 그들의 악기 연주와 함께 기묘한 사건이 무대 위에서 펼쳐진다.

 

2021년 독일 베를린 문화환경공간 니르겐트보에서 막을 올린 한국과 독일 청년 예술가들의 인종차별 극복 실험극 '칭창총 소나타 No.1'이 오는 15일과 16일 이틀간 서울 종로구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공연한다.

 

이번 '칭창총 소나타 No.1'은 드라마와 현대 음악, 시각 예술, 퍼포먼스가 함께 어우러진 실험 다원극 시리즈의 첫 작품이다. 이 공연은 기존의 연극이 가진 장르의 위계질서를 무너뜨리고 다양한 예술 양식을 한곳에 어우름으로써, 관객들에게 공감각적 극장 경험을 통해 반인종차별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사람들 사이의, 특히 인종 간의 불화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면서 동시에 인간의 존엄성과 화합의 의미를 독특한 방식으로 시각화 및 청각화하여 우리 사회가 가진 문제를 평화적이고 창의적으로 극복해 내는 공연이다. 코로나19로 아시안 혐오가 불거진 유럽 사회에서 이민자들이 겪는 삶의 애환과 인종차별 극복의 목소리를 폭력적 방식이 아닌, 예술이 가진 포용과 평화적 메시지로 전하는 것이 기획 의도이다. 다양한 장르가 위계질서 없이 혼재하는 형식은 세상 모든 타자들의 다름을 인정하는 공존과 화합의 세상을 은유하며, 칭창총 소나타 속 가상의 인물들과 실제 사건을 음악, 무용 및 영상 설치로 매개함으로써 시공간의 한계를 확장한다.

 

이번 공연의 기획과 연출을 맡은 프리즈마 이보영 대표는 독일 관객이 대상이었던 초연의 경우, 독일 사회가 안고 있는 민감한 인종차별 현상에 정면 대응함과 동시에 그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표현, 소품 등을 사용했다면, 이번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서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적 유토피아 그 자체에 관한 메시지를 전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전했다.

 

프리즈마 이보영 대표/이보영 대표

이 대표는 많은 혐오 표현 중 '칭창총'을 사용한 이유로 '칭창총'의 어원이 혐오적 표현이 아닌 칭, 창, 총(가위바위보)게임이였으며, 중국어 소리를 모방한 것으로, 유럽 사회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 차별적 비방으로 쓰인다. 욕설이나 비방과 달리. 칭창총이라는 단어가 주는 음율과, 3음절의 숫자 '3'이라는 완전수가 주는 조화의 의미는 이 혐오 표현의 의미 자체를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고, 자신에게 시청각적 예술적 영감을 주는 메타포가 되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많은 혐오 표현 세상은 모든 제각각의 '나' 들로 채워져 있다. 모두가 다르다. 이 숱한 다름과 다름들이 하나의 사회 속에서 평화롭게 공존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유토피아는 결코 나만을 위한 세상이 아닌 공존의 세상이다. 우리 모두는 "미움, 차별과 분열의 현장 속에서 타인을 향해 돌을 던질 수 있는가?"를 자문해 보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관객에게 전하였다.

 

'칭창총 소나타'포스터/2022 SPAF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