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오픈페이 론칭 연기…완성형 선보인다

카드사별 연동 작업 하는 마무리 단계
카드사 동맹 통해 편의성 제고 나설 것

/뉴시스

이달 출시를 예상했던 오픈페이의 출시가 미뤄졌다. 당초 론칭을 예고했던 지난 8월 이후 한 차례 미뤄진 뒤 이번이 두 번째 연기다. 오픈페이는 연내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30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이달 출시 예정이던 오픈페이의 출항이 한 번 더 미뤄졌다. 시스템 구축에 예상보다 긴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현재 오픈페이는 마지막 점검 단계다. 오픈페이와 카드사별 연동은 시험을 마친 상태다. 다만 카드사 사이의 연동 작업에 차질이 생겨 마무리 단계에 있다. 늦어도 내년 초에는 선보일 예정이며 지급결제 수단인 만큼 불편함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오픈페이는 지난해부터 여신협회를 주축으로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가 참여에 공격적으로 나서며 개발에 급물살을 탔다. 오픈페이는 카드사별 페이를 통합한 지급결제 수단이다. 카드사들의 동맹을 통해 범용성과 편의성을 높인다. 카드사들이 동맹에 나선 이유는 매년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간편결제 시장에서 빅테크사의 비중이 커지고 있어 견제하기 위한 포석이다.

 

현재까지 참여를 확정한 카드사는 7곳(신한·KB국민·롯데·우리·하나·NH농협·비씨카드)이다. 특히 우리카드는 오픈페이 참여를 유보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달 참여를 예고하며 마지막 대열에 들어섰다.

 

우리카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해 오픈페이에 참여했다는 의견이다. 우리카드 앱 이용자가 오픈페이 사용을 못하게 되는 것은 편의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고객 편의성을 생각해 참여를 결정했다"며 "우리카드만 참여를 안 하게 되면 우리카드 앱을 이용하시는 고객이 오픈페이를 이용하기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오픈페이는 삼성페이에 이어 간편결제 시장에서 하나의 축으로 역할을 예고하고 있다. 여신협회가 주도하고 있는 만큼 실효성을 높였을 것이란 관측이다.

 

오픈페이의 성패 여부는 아이폰 사용자 겨냥을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간편결제 시장에서 아이폰은 삼성전자의 갤럭시에 비해 편의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갤럭시 사용자 대부분이 삼성페이를 사용하고 있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일부 간편결제 프로그램밖에 사용할 수 없는 아이폰 사용자들에게는 새로운 판로가 열린 셈이다.

 

국내 론칭을 예고한 애플페이와의 경쟁도 점쳐진다. 다만 애플페이의 경우 구체적인 출시 윤곽이 잡히지 않았으며 오로지 현대카드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압도적이다. 7곳 카드사의 상품을 등록할 수 있는 오픈페이와는 범용성 면에서 격차를 보이고 있다.

 

반면 오픈페이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도 등장하고 있다. 일부 카드사들이 참여를 유보하고 있는 것과 실물카드 사용 감소에 영향을 주는 점이다.

 

페이시장이 커질수록 실물카드의 사용은 줄어든다. 실물카드 사용이 줄어들면 고소득 노령층 소비자의 결제시장 접근을 제한할 우려가 있다.

 

이어 일부 카드사들의 참여 유보다. 삼성카드와 현대카드는 참여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 '반쪽짜리 동맹'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카드업계에서 삼성카드와 현대카드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반쪽짜리 동맹이라는 의견이 나오는 것도 일리는 있다"며 "다만 업계 1위인 신한카드가 적극적으로 나서 실효성을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