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연준 피봇 기대감 '솔솔'…파월 입 주목

美 연준 11월 회의서 자이언트스텝 확실
연준, "긴축 속도 신중하게 논의 할 것"
원·달러 환율 하락과 증시 상승 '긍정적'

파월 연준 의장의 목소리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뉴시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75bp(1bp=0.01%포인트)의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연준의 금리인상 관련 피봇(입장 전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연준은 2일(현지시각) FOMC 회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6·7·9월에 이어 11월까지 4연속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p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경우 미국 기준금리는 3.75~4.00%다.

 

또한 회의에서 금리 인상과 함께 12월 금리인상폭 축소 여부와 시그널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크리스토퍼 월러 미 연준 이사는 지난달 연설에서 "다음 회의에서 긴축 속도에 대해 매우 신중하게 논의할 것"이라며 "내년 초까지 추가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더 제약적인 영역으로 움직이면서 적절한 긴축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신중하게 자료를 살펴보겠다"고 언급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은 연준의 금리인상 관련 '피봇'으로 쏠려 있다.

 

이달 네 번째 75bp 금리 인상을 결정한다 하더라도 연준이 마냥 자이언트스텝을 유지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가 시장 금리를 토대로 미 연준의 기준금리를 예측하는 페드 워치 툴에 따르면 연준이 12월 FOMC에서 금리를 50bp 인상할 확률을 55.5%로 보고 있다. 11월 75bp 인상한다는 전재다. 이 확률은 지난달만 해도 24.2%에 불과했다.

 

반면 12월 FOMC에서 75bp를 올릴 확률은 39%로 이 역시 지난달 75.4%에 육박했다. 피봇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신호다. 국내에서도 피봇에 대한 기대감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25일 1444.2원까지 치솟으면서 연고점을 갱신했지만 현재는 1410원대로 하락하면서 원화 가치 하락도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2300으로 회복했고 코스닥 역시 700으로 회복하면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주식시장에선 외국인의 매수세가 뚜렷하다. 10월 한달간 외국인은 3조2370억원을 순매수했고 이 기간 코스피는 6.4%의 상승률을 보였다. 연준이 금리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 외국인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는 것.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속도조절 이슈가 공론화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 증시에는 단기 안도감이 유입될 것"이라며 "11월 초 발표 예정인 고용지표 등이 전월 대비 부진할 경우 이번 FOMC 결과와 맞물려 금리 인상 속도 완화 기대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