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괜찮다는 거짓말

마거릿 로빈슨 러더퍼드 지음/송섬별 옮김/북하우스

 

어제 만난 친구는 '이태원 핼러윈 사고' 후 지인들의 안부를 확인하기 위해 연락을 돌렸다고 했다. '괜찮다'는 회신을 받으면 "참, 다행이네요"라고 답장을 했는데 문득 그런 저 자신이 혐오스러워졌다고.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됐는지 궁금해 이유를 물었다. 친구는 "내 주변의 안위만을 챙기는 이기적인 사람 같아 갑자기 소름이 쫙 끼쳤다"며 "가족과 친구 중 이태원 참사 희생자가 있는 사람이 옆에서 이 이야기를 들었으면 마음이 무너졌을 것이다"는 답이 돌아왔다.

 

필자는 눈에는 이 친구가 제우스에 대항했다가 패해 그 벌로 평생 하늘을 떠받들며 살게 된 아틀라스처럼 보였다. 한낱 인간이 짊어지기엔 너무 큰 마음의 짐을 떠안게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안타까움이 들었다. 친구는 지난달 29일 밤 "압사될 것 같다"는 112신고를 무시한 경찰 수뇌부도 아니고, 안전 컨트럴타워로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한 서울시장도 아니고, 관내에서 3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한 사고가 났는데도 구청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했다며 책임을 회피한 용산구청장도 아닌데 시민 중 한 사람으로서 다른 이웃들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죄책감을 느끼며 고통스러워 하고 있었다.

 

'괜찮다는 거짓말'은 아픈 게 뭔지 모른 채 책임감만으로 모든 일을 혼자 짊어지고 가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저자는 자신과 주변 환경을 통제해야 한다는 걱정과 욕구를 느끼는 사람들에게 "당신은 당신이 통제하는 것들에 대해서만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면서 "걱정은 통제 욕구를 부르고, 통제 욕구는 다시 더 큰 책임감을 부르며, 결과적으로 당신은 지쳐버리고, 그러면 숨겨진 분노나 억울함이 생긴다"며 이러한 분노와 억울함으로부터 벗어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348쪽. 1만7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