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대출금리 8% 예금금리 5% 시대…피해는 차주 몫?

코픽스 4% 육박 2008년 이후 '최고치'
차주 대출 금리 고공행진으로 곡소리
금융당국, "은행들 수신경쟁 자제 할 것"

예금금리가 오르면서 대출금리 8%시대에 들어섰다./뉴시스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8%를 넘어섰고 예금금리 역시 5%를 돌파했다. 예금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대출금리 상승도 불가피해졌다. 차주들의 이자부담이 커진다는 의미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10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3.98%로 집계됐다. 지난달(3.40%)과 비교해 0.58%포인트(p) 오르면서 2010년 2월 코픽스 공시가 시작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 주담대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KB국민은행 연 5.76~7.16%, 우리은행 연 6.32~7.12%, NH농협은행 5.67~6.77%, 신한은행 연 5.26~6.51%, 하나은행 연 6.47~7.77%으로 집계됐다.

 

특히 하나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는 지난 14일 은행채 1년물 기준 6.764~8.064%로 금리 상단이 8%를 넘어섰다. 은행 주담대 금리가 8%를 넘어선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이다.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금리 역시 5.21~7.32%, 신용대출(6개월)은 6.11~7.46%로 연 8%를 목전에 두고 있다.

 

대출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이유는 기준금리 인상 영향도 있지만 시중은행들의 과도한 예·적금 인상 경쟁 때문이다.

 

금리인상에 속도가 붙으면서 위험자산인 주식시장이나 코인시장에 투자를 하기보단 안전자산인 은행으로 몰리는 '역머니무브' 현상이 더 뚜렷해지고 있다.

 

10월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931조6000억원으로 전달 대비 56조2000억원 늘어나 2002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치 기록했다.

 

은행별 금리를 살펴보면 'KB국민은행 KB Star' 정기예금이 5.01%,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4.98%, NH농협은행 'NH왈츠회전예금 II' 4.9%,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 4.85%, 전북은행 만기일시지급식 'JB 123 정기예금' 5.1% 등이다. 문제는 은행들이 정기 예·적금 금리를 빠르게 인상하면서 대출금리 이자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 이자를 더 주고 돈을 끌어 모아 대출이자를 더 비싸게 받고 빌려주기 때문에 피해는 차주들이 받고 있다.

 

또한 기업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대출 자산으로 쓰이는 예·적금 유치에 열을 올리는 것이다.

 

결국 예·적금 이자를 더 받기 위해 대출이자가 배로 나가는 것이다.

 

금융당국도 이런 상황을 직시하고 시중자금의 은행 쏠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은행권에 과도한 수신 경쟁을 자제하고 예금금리를 과도하게 올리지 말라고 당부했다.

 

앞서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은행장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하는 것이 불가피하나 은행들이 금리 상승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경제에 부담을 줄일 방안을 고민해 달라"고 말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예금금리 인상이 이어지고 있지만 차주들의 피해가 적은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