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흰 우유 2800원대…빵·아이스크림 도미노 인상 또?

카페 운영 자영업자 한숨 늘어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 우유 가판대에서 한 직원이 우유를 정리하고 있다. /뉴시스

17일부터 유제품 가격이 일제히 인상되면서 우유를 재료로 사용하는 빵·제과류와 커피 메뉴 등 다른 식품 가격도 연쇄적으로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우유협동조합과 매일유업, 남양유업 등 국내 주요 유제품 기업들은 원유 가격 인상에 따라 흰 우유 가격을 평균 6~8% 인상하기로 했다.

 

낙농진흥회는 지난 3일 원유 기본 가격을 1L당 947원에서 999원으로 49원씩 올리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번 원유 가격 인상은 지난 2020년 8월 낙농진흥회가 21원 인상을 결정한 이후 2년 3개월 만이다. 당초 시장에서는 1000㎖ 기준 흰 우유 가격이 3000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가격은 대형마트 기준 2710원에서 2800원 후반대로 책정 됐다.

 

흰 우유 외에 유제품 가격도 올랐다. 서울우유는 서울우유 생크림과 버터 가격을 각각 10%, 7%씩 인상했으며 발효유 제품 '비요뜨' 출고가도 5%대로 인상했다. 앞서 지난달에는 일부 치즈 제품 출고가를 약 20% 올린 바 있다. 매일유업도 원유 가격 결정 전인 지난달 이미 발효유 제품 가격을 15~25% 올렸고, 휘핑크림 가격도 6∼7% 인상했다.

 

hy(옛 한국야쿠르트)는 다음달 1일부터 일부 발효유 제품 가격을 올린다고 17일 밝혔다. 대표 제품인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의 소비자 가격은 1500원에서 1600원으로 6.7% 오른다. '메치니코프'는 1300원에서 1400원으로 7.7% 비싸진다. 인상된 가격은 유통 채널별로 순차 적용될 예정이다.

 

hy는 지난 9월 1일에도 '야쿠르트 라이트' 가격을 200원에서 220원으로 10% 올렸고 '쿠퍼스 프리미엄', '야쿠르트 프리미엄 라이트', '멀티비타 프로바이오틱스'의 가격을 100~200원씩 인상한 바 있다.

 

유제품 가격이 오르면서 우유나 버터, 치즈를 재료로 하는 빵, 커피, 아이스크림 등의 가격도 잇따라 오르는 '밀크플레이션'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시내의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우유를 고르고 있다./뉴시스

업계 관계자는 "제과업계와 커피업계는 유제품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원유 가격이 1L당 21원 오르자 스타벅스는 올초 카페라때 가격을 400원(9.8%) 인상했다. 파리바게뜨도 연초에 빵·케이크 등 67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6.7% 올렸다.

 

이에 따라 특히 카페를 운영하는 자영업자 등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인천에서 커피숍을 운영하는 A 씨(45)는 "우유나 크림 등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어 일부 커피 메뉴 가격을 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원두 가격도 오르고 우유 가격도 오르는데 판매 가격을 그대로 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우유 가격뿐 아니라 설탕,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 비용 모든 비용이 오른 상황이라 가격을 올려도 순이익이 예전보다 좋지 못하다"고 토로했다.

 

서울우유의 카페 전용 우유인 '밀크마스터' 가격도 6.3%가량 인상된다. 다만 인상 시기는 유통 채널별 협의가 필요해 이날이 아닌 다음 달 1일부터 이뤄진다.

 

또 다른 카페 운영자 B 씨(32)는 "올초에 가격을 올렸는데 또 올리면 손님들이 반감을 가질까 올리지도 못하고 있다"며 "이럴 줄 알았으면 당초에 조금 더 큰 폭으로 금액 조정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멸균우유가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우유를 대신할까 고민도 했지만, 손님들의 입맛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칫 단골 손님들마저 잃을 수 있어 관뒀다"고 덧붙였다.

 

커피 프랜차이즈 이디야커피는 다음 주부터 직영점을 대상으로 4년 만의 가격 인상에 나선다고 밝힌 바 있다. 음료 57종에 한해 200~700원 가격을 인상한 뒤 올해 안에 전국 가맹점으로 인상한 가격을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