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서울시, 플라스틱 폐기물 줄일 방법은? 시민에 물었더니…

지난해 진행된 서울시 '쓰레기 다이어트' 시민 실천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쓰레기 감량 실천 사례(천주머니로 장보기)./ 서울시

코로나19 이후 서울시민들의 플라스틱 사용량이 갑절 이상으로 불어나자 서울시가 플라스틱 없는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시민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다.

 

20일 서울시의 온라인 시정 참여 플랫폼 '민주주의 서울'에 따르면, 2030년 제로 플라스틱 서울을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해달라는 요청에 이달 7일부터 이날 오후 1시까지 총 135명이 의견을 냈다.

 

시는 "서울의 인구는 감소 추세이나 1인 가구와 비대면 소비가 증가하면서 전체 생활폐기물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특히 플라스틱 사용량이 코로나 이전의 2배를 넘어 급증했다"고 밝혔다.

 

서울연구원에 의하면, 서울시의 1인당 하루 플라스틱류 폐기물 배출량은 지난 2016년 110g에서 코로나19 이후인 2020년 236g으로 약 2.15배 늘었다. 서울시내 플라스틱 폐기물이 불과 4년 만에 200% 이상 증가한 것이다. 서울시 전체 하루 플라스틱류 폐기물 발생량은 2338.4t이다. 

 

시는 "플라스틱을 줄이려면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면적인 혁신이 필요하다. 만들 때부터 순환되도록 제조하고 한번 생산된 플라스틱은 재생 원료나 제품, 에너지로 재활용되는 구조를 만들어 서울을, 우리 사회를 바꿔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제조-유통 기업부터 소상공인, 소비자, 정부가 모두 아이디어를 모아야 한다"고 의견 수렴 배경을 설명했다.

 

서울시의 '제로 플라스틱 서울' 실현 아이디어 요청에 시민들은 플라스틱을 대신할 제품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모 씨는 "우리나라 1인당 연간 택배 이용량이 40건(작년 기준 70.3회)이 넘는다고 한다. 거기서 사용되는 포장용기, 비닐, 에어캡 같은 폐플라스틱이 많은데 택배 업체에서 이런 플라스틱 포장보다는 친환경 포장을 사용해 폐기물을 줄일 수 있으면 좋겠다"면서 "관련 비용 등은 소비자, 업체, 정부가 나눠 부담할 수 있는 공정한 방법이 있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A씨는 "텀블러, 에코백, 종이빨대, 비닐 모두 몇 년 쓰지도 못하고 오히려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면서 "생분해되는 비닐이나 옥수수 빨대 같이 폐기물 처리 방식에서 실효성 있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규제 방향을 바꿔달라"고 요구했다.

 

강모 씨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이를 대체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혜택을 주는 정책을 펼쳤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촉진하는 기업들에 대한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신모 씨는 "친환경 물품이라며 새로운 제품들을 대량 생산하는 기업들이 많은데 정말 환경을 생각한다면 무분별한 생산을 안 하는 게 낫다"면서 "소비자들에게는 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함이라며 종이빨대를 쓰게 하지만 짧은 간격으로 수많은 텀블러를 만들어내는 기업이 있다. 종이빨대도 좋은 방법이지만 기업에서 텀블러 생산량을 줄이는 것이 더 도움된다"고 강조했다.

 

김모 씨는 "플라스틱이 쓰기 편하긴 하나 한계치를 넘은 것 같다"면서 "플라스틱을 만드는 기업들에 환경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모 씨는 "배달음식으로 생겨나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너무 많은데 음식의 기름 때문에 제대로 재활용되지도 않는다"면서 "과거 중국집의 배달음식은 전부 다회용기였다. 충분히 다회용 그릇을 쓸 수 있는데 무분별하게 플라스틱 쓰레기 사용을 남발하는 포장 전문 식품업자들을 규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진행된 서울시 '쓰레기 다이어트' 시민 실천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쓰레기 감량 실천 사례(제로 웨이스트 샵 이용)./ 서울시

이외에 주목할만한 아이디어로는 ▲버려진 플라스틱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기술 검토 ▲모든 소비 제품에 대한 플라스틱 구입 내역을 기반으로 플라스틱 제로 시민 실천 앱 서비스 설치 의무화 ▲식품 및 물품 리필 스테이션 상용화 ▲지역 주관 플로깅 행사 진행 후 모인 플라스틱으로 실제 사용 가능한 물건 제작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을 알려주는 교육 실시 ▲플라스틱 제품 단가 계산시 폐기 비용 고려해 세금 부과 등이 있었다.

 

시는 이달 21일까지 시민 의견을 수렴한 뒤 검토를 거쳐 향후 서울시 자원순환 정책 수립 등에 이를 반영할 예정이다. 한마디 거들고 싶으면 민주주의 서울에 접속해 의견을 개진하면 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