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가격 인상 대신 용량 줄이는 '꼼수'…소비자 권리는 어디에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는데 식품 가격을 마냥 올릴 수 없다보니 기업들이 중량을 줄이는 꼼수를 쓰고 있다.

 

가격 변화는 겉으로 드러나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중량 변화는 주의 깊게 살펴보지 않으면 넘어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업들의 전략은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이라고 한다. '줄어든다'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간단히 말하면, 식품의 중량을 줄이거나 저렴한 대체 원재료를 쓰는 대신 가격을 올리지 않는 전략이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올해 9월 토핑 요구르트 '비요뜨' 용량을 기존 143g에서 138g으로 5g 줄였다. 농심 '양파링'은 84g에서 80g으로, '오징어집' 용량은 83g에서 78g으로 줄였다. 다만 겉으로 드러나는 가격은 그대로 유지했다. 아이스크림 제품에서도 이같은 현상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특히 바 형태의 아이스크림 제품의 크기가 줄었다는 소비자 불만 글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과자에 질소를 절반 이상 충전하거나 여러겹 과대 포장하는 것도 모자라 이제는 중량까지 줄여 소비자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비싸진 원재료를 빼거나 저렴한 재료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지난 9월 맥도날드는 이상 기후로 양상추 가격이 급등하자 일부 매장에서 양상추를 평소보다 적게 제공하거나 아예 제공하지 않았다. 롯데리아는 일부 매장에서 양상추와 양배추를 섞어 제공한 사실이 알려졌다.

 

공식적으로 가격 인상을 발표하지 않았더라도 결국은 내용물을 줄이거나 저렴한 대체 재료를 사용했으니 사실상 값을 올린 것과 마찬가지다. 뒤늦게 용량이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안 소비자들이 실망하는 것은 당연하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제품마다 자세하게 확인하지 않는 이상 알아채기 어렵다. 정부가 이를 제재할 법적인 방안이 없고 기업들이 소비자들에게 용량을 줄였다고 발표하지 않으니 소비자들이 제품 가격 대비 용량을 꼼꼼히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는 게 문제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슈링크플레이션은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브랜드 이미지에 타격을 줄 수 있다. 기업은 중량 감소를 고지해 소비자의 불신을 미연에 방지해야 하지 않을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